24일 수협중앙회 본부에서 수협중앙회장 이·취임식 개최
퇴임 임준택 회장, 21년 만 공적자금 조기상환 성과 달성
수협중앙회 신임 대표이사에 김기성 전 기획부대표 선출

노동진 제26대 수협 회장 당선인이 24일 수협 2층 독도홀에서 취임 포부와 향후 비전을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수협중앙회 제공)
노동진 제26대 수협 회장 당선인이 24일 수협 2층 독도홀에서 취임 포부와 향후 비전을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수협중앙회 제공)

[이넷뉴스] 노동진 수협중앙회장 당선인이 “바다의 쿠팡을 만들겠다”는 취임 소감을 밝혔다.

24일 서울 송파구 수협중앙회 본부에서 열린 수협중앙회장 이·취임식에서 노동진 신임 회장 당선인과 임기가 종료되는 임준택 회장이 한자리에서 회장직 인수인계를 마쳤다.

임 회장은 “수협이 더욱 부강해져 어업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대변하고, 조합에 대한 지원을 늘려 달라”고 당부했다.

노 회장 당선인은 “공적자금 조기상환을 완료한 임 회장의 업적을 토대로 어업인과 회원조합 지원에 더욱 힘써 나갈 것”이라고 답했다.

노 당선인은 이날 취임식에서 “어업인이 부자되는 어부(漁富)의 세상을 실현하기 위해 조합과 어업인 지원을 가장 최우선을 두는 조직으로 재정립해 나가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수협중앙회가 지난해 공적자금 상환 의무에서 벗어난 만큼 회원조합에 대해 직접적인 사업 지원을 확대함으로써 어업인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중앙회 역할을 바로 세우겠다는 분석이다.

어부(漁富)의 세상을 내세운 노 당선인은 어업인에게 이익이 돌아갈 수 있는 새로운 유통구조 개선안을 제시했다. 취임사를 통해 “갓 잡은 우리 수산물을 고부가 가치화해 신속하게 받아 볼 수 있는 ‘바다의 쿠팡’과 같은 시스템을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는 싱싱한 수산물을 값싸고 손쉽게 먹을 수 있고, 생산자인 어업인은 적정 가격을 보장받아 소득을 올릴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겠다는 것.

이어 “전국을 돌며 조합장과 조합원의 바람을 적어 둔 수첩을 가슴에 품고, 회장직에 서게 됐다. 받아 적은 귀중한 뜻을 하나하나 실행에 옮기기 위해 모든 역량과 성심을 다하겠다”고 전헀다.

2019년 3월 취임한 임 회장은 임기 중 역대 중앙회 최고 수익 기록을 2년 연속 경신하는 성과를 거두며 수익구조를 크게 개선하는 성과를 이뤘다. 취임 전 2018년 말 227억 원이었던 중앙회 세전이익을 지난해 323억 원으로 100억 원 가까이 끌어 올렸다.

임 회장의 핵심 공약이었던 수산물 유통·판매 등 경제사업 중심의 수익구조를 강화하기 위해 수산식품연구 조직을 신설하는 등 가공사업 역량을 키워 온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적자를 기록했던 경제사업 세전이익은 임준택 회장 취임한 2019년도를 기점으로 25억 원의 흑자를 달성한 이래 4년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지난해 99억 원의 성과를 달성했다.

임 회장의 임기 4년 동안 내부에 유보한 기금을 포함한 중앙회 누적 세전이익은 3,672억 원을 기록했다. 수협중앙회는 이를 토대로 당초 2028년이었던 공적자금 상환시점을 6년 앞당겨 지난해 9월 잔여 공적자금을 전액 상환했다.

임 회장은 적정 적립 목표 수준에 도달하면, 상호금융 예금자보호기금 충당을 위한 일선수협의 보험료를 감면하는 목표 기금제도를 도입해 회원조합에 대한 경영실적 개선도 이끌었다.

목표기금제가 본격적으로 도입된 2021년 전국 일선수협의 당기순이익은 1,615억 원으로 도입 전인 785억 원 보다 약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1,697억 원을 달성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임 회장은 이임식에서 “21년 동안 어업인 지원에 족쇄가 되어 온 공적자금을 상환한 것은 어업인을 위한 협동조합으로서 본연의 모습을 되찾기 위한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제 수협이 새로운 미래로 도약하기 위해 어업인 권익 증진과 수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기성 신임 수협중앙회 지도경제사업대표이사가 24일 수협중앙회 2층 독도홀에서 개최된 제61기 정기총회에서 선출돼 소감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수협중앙회 제공)
김기성 신임 수협중앙회 지도경제사업대표이사가 24일 수협중앙회 2층 독도홀에서 개최된 제61기 정기총회에서 선출돼 소감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수협중앙회 제공)

한편, 수협중앙회 신임 지도경제사업대표이사에는 김기성 전 기획부대표가 선출됐다. 임기는 27일부터 2년간이다.

수협중앙회는 이날 본사 독도홀에서 열린 2023년 제61기 정기총회에서 찬반투표를 통해 김 전 부대표를 지도경제대표이사로 선출했다.

김 신임 대표이사는 지난 15일 인사추천위원회에서 자격검증과 면접 등을 거친 후 대표이사 후보자로 추천됐다.

김 신임 대표이사는 1995년도에 수협중앙회에 입회했다. 이후 총무부장, 어선안전조업본부장, 기획부장, 경영전략실장, 지도부대표, 기획부대표 등 주요보직을 두루 역임했다. 신임 대표는 교육·지원, 경제, 상호금융, 공제보험 등 수협중앙회 주요사업을 총괄하게 된다.

김 신임 대표이사는 "중앙회는 어업인과 회원조합의 존립 근거라는 것에 중심을 두고 사업 방향을 잡고 추진해 나갈 것이다. 항상 상생과 협력의 자세로 중앙회를 이끌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 김기성 신임 수협중앙회 지도경제사업대표이사 약력

[출생] 1966년생(강원 춘천)

[학력] 경희대학교 법학

강원대학교 행정학

춘천고등학교

[경력] 전 기획부대표

전 지도부대표

전 경영전략실장

전 기획부장

전 어선안전조업본부장

전 총무부장

[이넷뉴스=이효민 기자] hyomin7@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