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공장 내 약 760평 규모 배터리팩 생산라인 착공
전기 연료 솔루션 수요 대응 위한 전략적 투자

[이넷뉴스] 볼보그룹이 전기 배터리팩 국내 생산을 추진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볼보그룹은 차세대 전동화 장비 수요에 대비해 볼보건설기계 창원공장에 약 100억 원(780만 달러)을 투자해 약 760평 규모(2,500 평방미터)의 전기 배터리팩 생산라인을 신설한다.
이번 투자로 볼보그룹코리아는 2024년 6월까지 창원공장에 배터리팩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향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전동화 장비 수요에 대응한다. 볼보그룹코리아 창원공장은 볼보건설기계그룹 내 최대 규모의 굴착기 생산공장이자 전세계 볼보 굴착기의 55%를 생산하는 핵심 생산기지다.
볼보건설기계와 볼보그룹코리아는 과학적 탄소감축 목표(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SBTi)에 발맞춰 2040년까지 전 사업영역에서 탄소중립(Net Zero) 가치 사슬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를 한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매출의 35%를 전동화 장비를 통해 달성한다.
볼보그룹코리아 창원공장에 신설되는 배터리팩 생산라인은 콤포넌트 생산시설 내 약 760평 규모 부지에 자리해 전기 배터리팩 및 그 밖에 다양한 전기 연료 솔루션을 생산 및 유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볼보그룹코리아는 올해 4월에 배터리팩 생산라인 공사에 착수하며, 이후 생산라인 완공 및 양산 시점은 2024년 6월로 예상 중이다.
앤드류 나이트 볼보그룹코리아 대표이사 겸 볼보건설기계 굴착기 오퍼레이션 총괄은 “볼보그룹코리아 창원공장은 볼보 굴착기의 핵심 생산 기지로서, 업계 최전선에서 지속가능한 건설기계에 대한 관심과 수요에 대응해나갈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다.
한편, 지난달 31일 볼보그룹코리아는 소형 아스팔트 피니셔(아스팔트 페이버·아스팔트 혼합재를 노면에 일정하게 포설하는 건설기계) ‘P2820D’를 국내 출시한다고 밝혔다.
P2820D ABG는 볼보건설기계 라인업에서 가장 작은 모델 중 하나로, 도심 지역 중·소 규모 도로포장 현장에서 높은 범용성으로 고객 편의를 높였다.
P2820D는 VB30와 VB40 저소음 진동 스크리드를 활용해 최소 1.5미터(m)에서 최대 4.5m의 포장 폭으로 넓은 선택지를 제공한다.
대형 아스팔트 피니셔와 견주어 뒤지지 않는 강력한 파워에 더해 P2820D의 저소음 스크리드는 민첩한 움직임과 정숙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 도시 도로포장 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넷뉴스=임효정 기자] im@enetnews.co.kr
- "폭스바겐 ID.5·볼보 폴스타2 비켜"···아이오닉 5, 독일 자동차 전문지 평가 1위
- 전기차의 어두운 그림자···인권침해·인명희생에 글로벌 제조사 '침묵'
- '환경·비용' 두 마리 토끼 다 잡은 '전기차 1위'는?
- 전기차 충전, 방문부터 무선까지···편의성 '쑤욱' 높인다
- 트램처럼 달리는 ‘오버헤드 와이어’···대형트럭 탄소중립 솔루션 눈길
- 수소 만난 '철강', 제2의 전성기 누리나
- [단독] 하이브리드 카, 탄소중립 걸림돌?
- 전기차의 딜레마 폐배터리, 배터리 3사 재활용 산업 현황은?
- K배터리, 위상 높아졌지만 점유율 하락 '향후 전략은?'
- [단독] 다양한 가능성으로 진화하는 '마이크로그리드'···'26년까지 시장 규모 30조 넘어설 듯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