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총 4대의 솔라카우와 솔라밀크 1,000개 아프리카 어린이들에게 전달

학생들이 설치된 솔라카우 앞에서 충전된 솔라밀크를 들고 웃고 있는 모습. (사진=SK에코플랜트 제공)
학생들이 설치된 솔라카우 앞에서 충전된 솔라밀크를 들고 웃고 있는 모습. (사진=SK에코플랜트 제공)

[이넷뉴스] SK에코플랜트가 아프리카 어린이들에게 태양광 기반 전력보급시설을 선물했다.

20일 SK에코플랜트는 올해부터 구성원 탄소감축 프로그램에서 적립한 기부금을 태양광 기반 전력 보급시설인 ‘솔라카우(Solar-Cow)로 아프리카 어린이들에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솔라카우는 ㈜요크에서 개발한 젖소 모양의 태양광 충전 스테이션이다. 한 대의 솔라카우가 휴대용 보조 배터리인 솔라밀크(Solar-Milk) 250개를 충전할 수 있다.

전력난이 심한 아프리카 외곽지역은 한 달 소득의 20%정도를 전력을 구매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아이들 대부분이 휴대폰 충전이나 등유 구입을 위해 학교 대신 일터로 나가거나 멀리 시내까지 걸어가고 있다.

그러나 학교에 솔라카우가 설치되면 수업을 마친 후 일상 전력 보급에 사용할 수 있는 솔라밀크를 집으로 가져올 수 있다. 가정에서는 아이들을 학교에 보낼 수 있게 되고, 아이들은 충전 시간동안 수업을 받을 수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올해 총 4대의 솔라카우와 솔라밀크 1,000개를 아프리카 어린이들에게 전했다. 솔라카우 3대는 탄자니아에 위치한 음페네시니, 나시부가니, 슝구브웨니 학교 학생들에게 보급했다. 에티오피아 남부국가인 아르베고나(Arbegona) 시다마(Sidama)주에도 솔라카우 설치를 진행하고 있다.

솔라카우 구매 및 설치비용은 모두 SK에코플랜트 구성원이 직접 ‘탄소감축 프로그램’을 통해 마련했다. 탄소감축 프로그램은 SK에코플랜트 구성원이 일상생활에서 자발적으로 실천한 탄소저감 활동을 앱을 통해 인증하는 활동이다. 다회용기 사용, 플로깅, 저탄소식사 등 활동을 앱에 인증하면 자동으로 마일리지가 쌓인다. 적립금은 솔라카우 전달을 위한 기부금으로 전환해 사용되고 있다.

이성녀 SK에코플랜트 ESG추진 담당임원은 “우리가 실천한 탄소감축 활동이 모여 멀리 아프리카 어린이들의 교육복지에 기여할 수 있어 기쁘다. 앞으로도 탄소감축 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ESG 활동을 통해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SK에코플랜트는 ESG 활동 성과를 인정받았다.

지난 14일 SK에코플랜트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주관한 2022년도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ompliance Program, CP) 등급평가에서 우수 등급인 AA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SK에코플랜트는 ESG 경영의 핵심가치인 준법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2008년도부터 CP를 도입했다. CEO 직속 조직인 ‘자율준수사무국’과 이사회에서 선임된 총괄 책임자인 ‘자율준수관리자’를 통해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해외 CP, 윤리경영, 상생협력 등 공정거래 관련 담당자들을 자율준수사무국으로 편입했다. 명확한 CP 운영기준과 절차를 수립하고, 내부감시체계를 강화해 법 위반 여부 등을 사전·사후 점검하고 있으며, 운영성과와 향후 계획들을 이사회에 분기별로 보고 중이다.

아울러 사내 준법문화 정착을 위해 매년 CEO를 포함한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공정거래 자율준수 서약을 받고 있다.

[이넷뉴스=임효정 기자] im@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