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기술교류 및 우수인력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협약 체결

SK에코플랜트는 지난 23일 서울 종로구 수송동 본사에서 단국대학교와 ‘친환경 기술교류 및 우수인력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협약식을 체결했다. 협약 체결 후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오른쪽)과 김수복 단국대학교 총장(왼쪽)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K에코플랜트 제공)
SK에코플랜트는 지난 23일 서울 종로구 수송동 본사에서 단국대학교와 ‘친환경 기술교류 및 우수인력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협약식을 체결했다. 협약 체결 후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오른쪽)과 김수복 단국대학교 총장(왼쪽)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K에코플랜트 제공)

[이넷뉴스] SK에코플랜트와 단국대학교가 친환경 기술교류 및 우수인력 양성을 위해 손을 잡았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23일 서울 종로구 수송동 본사에서 단국대학교와 ‘친환경 기술교류 및 우수인력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협약식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행사에는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 김수복 단국대학교 총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협약을 계기로 양 기관은 국가 탄소중립(Net zero) 달성 및 순환경제 구축을 위한 친환경 기술 공동 연구, 친환경 기술 전문인력 양성 등에 적극 협력한다.

SK에코플랜트는 이번 협약을 토대로 단국대학교와 함께 우수 친환경 기술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을 추진한다. 산학협력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공동으로 개발, 참여한다.

SK에코플랜트의 주요 사업 영역인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기술 분야, AI∙DT를 기반으로 친환경 솔루션 및 플랫폼 개발 분야, 하∙폐수 재이용 등의 수처리 분야 등에서 긴밀한 협조와 공동연구개발 활성화가 전망되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혁신 환경기술을 발굴하고, 개발부터 최종 기술 확보까지 전 과정을 전담하는 기술 허브 역할을 하는 연구개발(R&D) 조직 에코랩(EcoLab)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기술 업그레이드를 통해 환경사업 전반을 고도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에코랩센터는 출범 이후 대학, 연구기관,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등 여러 곳과 공동연구개발, 기술 제휴를 추진하는 등 적극적인 기술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함께하는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기반으로 올해에만 신규 특허 13건을 출원했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기업과 대학이 힘을 모아 상호 협력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혁신 기술 발굴은 물론 인재 양성 등 미래 환경산업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K에코플랜트는 유관 기관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순환경제 달성 및 글로벌 환경문제 해결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단국대학교는 기후기술·바이오·인공지능(AI) 분야 기술 융합형 연구기반 확충 및 기술이전, 사업화를 목적으로 산학협력단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오는 2026년까지 환경부 지정 ‘통합환경관리 특성화대학원’ 5곳 중 1곳으로 선정됐다.

통합환경관리 특성화대학원은 연차별 통합허가 대상 사업장의 확대 및 통합허가 대행업 등록제 시행에 따른 산업공정 및 환경 분야 전문가를 양성하게 된다.

지난해 건국대 등 3곳의 특성화대학원 운영 결과, 총 63명이 통합환경관리 특성화과정을 수료했다.

각 대학은 관련 전공(환경, 화공, 금속·재료 등) 융합과정 운영 및 산업계 공동실습(컨소시엄) 교육과정을 구성했다.

교육과정 중에는 통합허가 신청 필수 서류인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작성 실무, 배출영향분석 등 핵심 공통 교과와 함께 대학별 특성화 과정을 운영했다.

[이넷뉴스=김진성 기자] jin@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