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플라스틱 재활용 생태계 고도화 추진∙∙∙순환경제 시대 선도
장섬유, 플라스틱 병, 타이어 등 제조 가능한 고부가가치 재생원료 생산, 공급 기대
폐플라스틱 수거 및 선별업체 3곳 지원∙∙∙폐플라스틱 업계 선순환 상생협력 노력도

[이넷뉴스] 국내 환경기업 SK에코플랜트가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업을 인수하며 폐플라스틱 순환 생태계 조성에 나섰다.
SK에코플랜트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원료를 생산하는 전문기업 DY폴리머·DY인더스와 주식매매계약(SPA)를 체결하고 인수절차를 완료했다고 24일 밝혔다. 고품질, 고부가가치 폐플라스틱 재활용 원료 생산은 물론 리사이클링 중심의 폐기물 업스트림 분야 활성화도 기대된다.
경북 고령군에 위치한 DY폴리머는 2013년 설립돼 국내 최초로 폐페트(PET)병을 활용한 재생원료인 펠렛(pellet)을 생산한 기업으로 잘 알려져 있다. 펠렛은 폐플라스틱 조각을 고온에 녹인 뒤 뽑아낸 균일한 크기의 작은 알갱이를 말한다. DY폴리머에서 생산된 펠렛은 국내외에서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국내 기업에 펠렛으로 만든 장섬유를 공급하는 것은 물론 지난해부터 유럽 시장에 플라스틱병 생산용 펠렛을 수출하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
2016년 설립된 DY인더스는 소비자들이 버린 페트병을 분쇄, 세척한 조각인 플레이크(flake)를 생산한다. 플레이크는 직접 재활용하거나 펠렛으로 재가공할 수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이번 인수를 통해 현재 수입 의존도가 높은 최상급 폐플라스틱 플레이크 및 펠릿의 국산화를 도모하고, 밸류체인 전 단계에서 선순환 모델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매년 국내에서만 약 1000만톤 가량의 폐플라스틱이 배출된다. 그 중 실질적으로 재활용된 비율은 20% 수준으로 추산된다. 혼입이나 이물질, 오염 등으로 수거된 폐플라스틱 일부가 선별과정에서 탈락되기 때문이다. 그마저 재생원료 품질이 낮아 대부분 솜이나 폴리염화비닐(PVC) 배관 등 산업용 플라스틱으로 재활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SK에코플랜트는 이번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업 인수를 기반으로 설비 투자, 디지털 전환, 시설 현대화 등을 추진한다. 고품질 재생원료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불순물 제거나 균일한 소재 생산을 위해 별도 설비도 갖출 계획이다. 고품질 폐플라스틱 원료 공급 활성화를 통해 폐플라스틱 재활용 원료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글로벌 규제에 대응하는 역량도 높여나간다는 청사진이다.
폐플라스틱을 수거, 선별하는 기업과의 협력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그 일환으로 SK에코플랜트는 지난 8일 폐플라스틱 선별사업자 3곳과 상생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협약에는 폐플라스틱을 모으고 골라내는 중소기업의 설비 개선을 지원하는 등 경쟁력 강화를 돕고 재생원료 공동연구 개발, 상생협의체 구성 등 기존 업계와 공존을 위해 노력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양질의 폐플라스틱 자원을 확보하는 한편 지속가능한 협력 체계를 정착시켜 동반성장을 도모하겠다는 의도다.
플라스틱 페트병을 사용하는 음료 기업과 협력도 추진 중이다. B2B(Bottle to Bottle) 재활용과 더불어 폐플라스틱 밸류체인 전 단계에서 선순환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관련 시장을 고도화하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것이 목표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SK에코플랜트는 소각·매립 등 폐기물 관리(Waste Management)에서 더 나아가 폐기물 제로화(Waste Zero)를 추구하는 리사이클링 시장까지 확장을 지속, 순환경제 실현에 앞장설 계획”이라며 “전 세계적인 플라스틱 규제 강화에 대한 대응역량을 제고하는 한편 중소기업과 상생을 통한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 고도화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넷뉴스=이효민 기자] hyomin7@enetnews.co.kr
- SK에코플랜트, ‘전기화학적’ 수처리 신기술로 고농도 폐수 정화
- 12대 1 경쟁 뚫은 '친환경·에너지' 스타트업 어디?
- "美 블룸 에너지, SK에코플랜트와의 시너지가 투자 핵심 포인트"
- 폐열로 전기 만든다···'에너지 하베스팅' 기술로 탄소 배출 저감
- 5월31일 ‘바다의 날’ 맞아 ‘해양환경’ 보호 나선 기업들
- 신재생에너지 기업, '에너지 스타트업' 육성 '눈독'
- SK에코플랜트, 말레이시아 국영 환경기업 ‘센바이로’ 지분 30% 인수
- '신재생에너지 100% 자립도시' 구축 나선 'SK에코플랜트'
- SK에코플랜트, 친환경·에너지 스타트업 발굴···우수기업 자금 지원
- SK에코플랜트, 그린수소 생태계 선도할까∙∙∙동서발전 손잡았다
- SK에코플랜트, 글로벌 '해상풍력 디벨로퍼'로 도약한다
- SK에코플랜트-쿠팡, '순환경제' 선봉장 될까
- SK에코플랜트, 용인 수지서 리모델링사업 수주···도급액 약 1924억원
- SK에코플랜트, 인천 ‘숭의5구역 재개발사업’ 수주
- SK에코플랜트-남부발전, 그린수소∙암모니아 사업개발 ‘맞손’∙∙∙그린에너지 선도
- SK에코플랜트 폐기물 솔루션 ‘웨이블’, CES 2023 혁신상 수상 '쾌거'
- SK에코플랜트, 개방형 기술 공모전 ‘콘테크 미트업 데이’ 시상식 개최
- [인사] 환경·에너지 기업 SK에코플랜트, 2023년 조직개편 및 임원인사
- SK에코플랜트가 선물한 ‘태양광 전력보급시설’이 아프리카에 가져올 효과
- SK에코플랜트 ‘장애인 클래식 연주단’, 보육원 아이들 위해 '연말맞이 연주회'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