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발전과 ‘그린수소·암모니아 및 저탄소 에너지사업 협력’ MOU 체결
해외 그린수소·암모니아 생산 사업모델 공동 개발, CCU(탄소 포집 및 활용) 솔루션 실증사업도 함께 추진
영월 연료전지 발전사업, 제주 그린수소 실증사업 등 양사 신재생에너지 분야서 긴밀히 협력
수소산업 생태계 활성화 및 탄소중립 실현 통해 그린 에너지 분야 선도 기대

[이넷뉴스] 환경∙에너지 기업 SK에코플랜트가 한국남부발전(남부발전)과 손잡고 국내외 그린수소 및 그린 암모니아 생산을 위한 사업모델 개발에 나선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11일 서울 종로구 수송동 본사에서 남부발전과 ‘그린수소·암모니아 및 저탄소 에너지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체결식에는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 이승우 남부발전 사장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양사가 그린 에너지 분야를 선도해 나가기 위해 그린수소 및 그린 암모니아 생산 사업모델을 공동 개발하고, CCU(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탄소 포집 및 활용) 기술 협력 및 실증사업 추진에 적극 협력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먼저 양사는 혼소발전용으로 소요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그린수소∙암모니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국내외 생산 인프라 구축 및 국내 도입을 위한 사업개발 추진에 중점을 두고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SK에코플랜트는 신재생에너지 연계 그린수소∙암모니아 솔루션을, 남부발전은 청정수소 인증기준을 준수하기 위한 생산 공정 및 운송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SK에코플랜트가 공급하는 고체산화물 수전해기(SOEC, Solid Oxide Electrolysis Cell)는 세계 최고 효율의 수전해 기술이며, 특히 암모니아 합성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SOEC와 연계 시 그린 암모니아 생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수소와 질소의 화합물인 암모니아(NH₃)는 최근 그린수소 운반수단이자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인정을 받으며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린 암모니아는 그린수소와 마찬가지로 이산화탄소(CO2) 배출 없이 재생에너지로만 생산한 암모니아를 의미한다. 풍력, 태양광 등의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기로 물을 분해하는 수전해 기술을 통해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이 그린수소가 공기 중의 질소와 만나면 그린 암모니아가 된다.
암모니아는 수소에 비해 압축 및 액화가 용이하고, 액화수소 대비 단위 부피당 1.5~2배의 저장 용량을 갖고 있어 대용량 저장과 장거리 운송도 가능하다. 또 비료 및 산업용 원료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어 생산 공정이 상용화 돼 있고, 유통 측면에서도 이미 구축된 암모니아 저장∙운송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양사는 연료전지(SOFC)에 CCU 및 액화 기술을 접목시켜 전력생산 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70% 이상 저감할 수 있는 저탄소 에너지 솔루션 모델을 구축하고 실증 사업도 함께 추진한다. SK에코플랜트는 CCU 및 액화 기술 개발을 맡고, 남부발전은 기술 실증에 필요한 부지 및 설비를 제공할 계획이다.
양사는 그간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해 왔다. 영월 연료전지 1단계 사업 등 수소연료전지 발전사업은 물론 남부발전 주관으로 제주에서 진행 중인 12.5MW급 그린수소 실증사업에도 함께 참여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그린수소∙암모니아 분야까지 협력 분야를 확장해 수소산업 생태계 활성화와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SK에코플랜트는 이미 연료전지, 해상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솔루션을 확보했고, 여기에 고효율의 수전해 솔루션을 연계해 그린수소 및 그린 암모니아 생산까지 이르는 수소 전 주기 밸류체인을 구축할 예정”이라며, “앞으로 남부발전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그린 에너지 분야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넷뉴스=임효정 기자] im@enetnews.co.kr
- SK에코플랜트, 인천 ‘숭의5구역 재개발사업’ 수주
- SK에코플랜트, 용인 수지서 리모델링사업 수주···도급액 약 1924억원
- SK에코플랜트-쿠팡, '순환경제' 선봉장 될까
- SK에코플랜트, 글로벌 '해상풍력 디벨로퍼'로 도약한다
- SK에코플랜트, 리사이클링 활성화로 '순환경제' 선도한다
- SK에코플랜트, ‘전기화학적’ 수처리 신기술로 고농도 폐수 정화
- "美 블룸 에너지, SK에코플랜트와의 시너지가 투자 핵심 포인트"
- 폐열로 전기 만든다···'에너지 하베스팅' 기술로 탄소 배출 저감
- SK에코플랜트, 말레이시아 국영 환경기업 ‘센바이로’ 지분 30% 인수
- '신재생에너지 100% 자립도시' 구축 나선 'SK에코플랜트'
- 기후위기 시대, 대학의 역할은∙∙∙”교육∙연구∙사회참여∙탄소중립대학”
- SK에코플랜트 폐기물 솔루션 ‘웨이블’, CES 2023 혁신상 수상 '쾌거'
- SK에코플랜트, 개방형 기술 공모전 ‘콘테크 미트업 데이’ 시상식 개최
- [인사] 환경·에너지 기업 SK에코플랜트, 2023년 조직개편 및 임원인사
- SK에코플랜트가 선물한 ‘태양광 전력보급시설’이 아프리카에 가져올 효과
- SK에코플랜트 ‘장애인 클래식 연주단’, 보육원 아이들 위해 '연말맞이 연주회'
- SK에코플랜트-단국대, 친환경 기술교류∙인력양성 위해 ‘맞손’
- SK에코플랜트, 플러그앤플레이와 친환경 스타트업 공동 발굴·투자 협력
- SK에코플랜트, 부산 괴정7구역 재개발사업 수주
- 정운천 의원, '전북 그린수소 생산 클러스터' 구축사업 예타 통과 촉구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