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연간 약 7만 4,000톤의 탄소 저감 효과 가져올 것으로 전망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감도. (사진=SK에코플랜트 제공)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감도. (사진=SK에코플랜트 제공)

[이넷뉴스] SK에코플랜트가 부산에서 100% 신재생에너지 자립도시 구축에 나선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SK에코플랜트가 속한 'The 인(人) 컨소시엄'이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구축∙운영 사업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SK에코플랜트는 에너지 부문 투자자로 참여하게 되며 친환경 에너지 혁신기술을 기반으로 신재생 융복합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SK에코플랜트는 제로시티(The Zero City) 실현을 위한 친환경 분산에너지 솔루션 공급사(Solution Provider)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스마트시티, 산업단지 등 수요 맞춤형 친환경 융복합 에너지의 최적 공급 및 운영으로 자립형 에너지 커뮤니티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가 탄소감축 선도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질 예정이다.

이를 위해 우선, 연료전지(SOFC, 59.4메가와트(MW)), 지붕태양광(602킬로와트(Kw)), 연료전지 폐열을 활용한 열전발전(21kW), 지열(192냉동톤(RT)) 등 총 60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공급 인프라를 구축 및 운영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시티 내 신재생에너지 자립률 100%를 달성하고자 한다.

30년산 소나무 52만 그루를 심는 효과와 연간 약 7만 4,000톤의 탄소 저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SK㈜ C&C와 함께 전기차 충전소와 신재생에너지 플랫폼을 연계 운영함으로써 안정적인 전기차 충전 서비스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왕재 SK에코플랜트 에코에너지 BU대표는 “연료전지, 태양광, 해상풍력,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폭넓은 밸류체인을 구축해 충분한 경쟁력을 확보한 결과, 이번 사업에도 참여할 수 있게 됐다”고 밝힌 뒤 “이번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탄소중립, 에너지 자립, 스마트시티 솔루션을 종합해 폐기물 제로와 탄소 제로가 현실화된 순환경제 모델인 제로시티 구현을 가속화하겠다”는 포부를 전했다.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감도. (사진=LG CNS 제공)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감도. (사진=LG CNS 제공)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는 국토교통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발주한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사업이다. 총 사업규모는 약 5.4조 원이며, 사업기간은 구축 5년, 운영 10년을 포함한 총 15년에 달한다. 약 3380세대가 들어설 예정이다.

사업을 통해 부산 강서구 내 여의도 면적과 비슷한 84만 평 규모의 백지상태 부지에 상업·업무·주거·문화 시설 등이 구축된다. 첨단 정보통신기술(IT)을 적용해 스마트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함께 디지털도시, 증강도시, 로봇도시 즉 3대 미래 도시운영 플랫폼을 운영한다. 또한, 로봇기반 생활혁신, 배움-일-놀이 융합사회, 도시행정∙관리 지능화, 스마트 워터, 제로에너지 도시, 스마트 교육&리빙, 스마트 헬스케어,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 안전, 스마트 공원 등 10대 혁신기술 도입으로 개인, 사회, 공공, 도시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창출할 계획이다.

[이넷뉴스=박민정 기자] parkminjung@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