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장비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7,992,146개 분석

[이넷뉴스] 통신장비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2년 11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케이엠더블유 2위 서진시스템 3위 에이스테크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통신장비 상장기업 43개 브랜드에 대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브랜드 평판조사를 실시했다. 2022년 10월 14일부터 2022년 11월 14일까지의 통신장비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7,992,146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판을 분석했다. 지난 10월 통신장비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7,519,324개와 비교하면 6.29%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이다.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끼리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커뮤니티 점유율을 측정하여 분석했다. ​

통신장비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분석은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로 구분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산출했다. ​

통신장비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2년 11월 빅데이터 분석 30위 순위는 케이엠더블유, 서진시스템, 에이스테크, 쏠리드, RFHIC, 코맥스, 코콤, 인텔리안테크, 광무, 인성정보, 머큐리, 에치에프알, 텔콘RF제약, 오이솔루션, 다산네트웍스, 이노와이어리스, 뉴지랩파마, CS, 유비쿼스, 삼지전자, 에스넷, 기산텔레콤, 알엔투테크놀로지, 라닉스, 휴림네트웍스, 텔레필드, 유비벨록스, 우리넷, 아이즈비전, 코위버 순이었다. ​

통신장비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케이엠더블유 ( 대표 김덕용 ) 브랜드는 참여지수 113,554 미디어지수 61,047 소통지수 122,748 커뮤니티지수 52,055 시장지수 241,62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91,027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603,981과 비교하면 2.14% 하락했다. ​

2위, 서진시스템 ( 대표 정내혁 )​ 브랜드는 참여지수 110,577 미디어지수 52,485 소통지수 79,920 커뮤니티지수 103,424 시장지수 138,24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484,652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600,989와 비교하면 19.36% 하락했다. ​

3위, ​​에이스테크 ( 대표 최진길 )​ 브랜드는 참여지수 87,626 미디어지수 41,011 소통지수 105,040 커뮤니티지수 89,427 시장지수 56,53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79,643으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422,696과 비교하면 10.19% 하락했다.​

4위, ​쏠리드 ( 대표 정준, 이승희 ) 브랜드는 참여지수 93,822 미디어지수 44,329 소통지수 115,174 커뮤니티지수 42,840 시장지수 71,91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68,079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320,317과 비교하면 14.91% 상승했다.​

5위, ​​RFHIC ( 대표 조덕수 )​​ 브랜드는 참여지수 74,268 미디어지수 33,122 소통지수 80,722 커뮤니티지수 33,306 시장지수 138,45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59,877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352,967과 비교하면 1.96%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22년 11월 통신장비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결과, ​케이엠더블유 ( 대표 김덕용 ) 브랜드가 1위로 분석됐다. 통신장비 상장기업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브랜드소비 1.49% 하락, 브랜드이슈 7.41% 하락, 브랜드소통 11.35% 상승, 브랜드확산 15.13% 상승, 브랜드시장 7.45%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편, 지난 2일 서진시스템은 글로벌 고객사들로부터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 수주가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진시스템은 전기차 배터리 부품 외 다양한 금속 가공 기술을 기반으로 제조 산업군 스펙트럼을 확보 중이다.

서진시스템은 지난달 14일 정정 공시를 통해 에너지저장장치(ESS) 부문에서 2,417억 원 규모의 공급계약 수주했다고 밝혔다.

[이넷뉴스 구하영 기자] data@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