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탄소중립 달성 목표 ‘신환경영전략’ 발표
환경단체, 기대감 나타내

삼성전자가 15일 ‘新환경경영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지난 1월 삼성전자 DX부문장 한종희 부회장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미래를 위한 동행’을 주제로 CES 2022 기조연설을 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15일 ‘新환경경영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지난 1월 삼성전자 DX부문장 한종희 부회장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미래를 위한 동행’을 주제로 CES 2022 기조연설을 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이넷뉴스] 삼성전자가 기후위기 극복에 동참하고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신환경영전략’을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15일 ‘친환경 경영’으로 경영 패러다임을 전환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에 필요한 비용을 제외하고, 공정가스 저감, 폐전자제품 수거 및 재활용, 수자원 보존, 오염물질 최소화 등 환경경영 과제에 2030년까지 총 7조 원 이상을 투자할 방침이다.

삼성전자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은 “기후위기 극복과 순환경제 구축은 기업, 정부, 시민 모두의 참여가 필요한 우리 시대 최대의 도전”이라고 밝힌 뒤 “삼성전자는 혁신기술과 제품을 통해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친환경 생태계 구축을 가속화하는 촉매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의 탄소중립 도전은 세계 최대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탄소중립 도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2030년 DX부문부터 탄소중립을 우선 달성하고 DS부문을 포함한 전사는 2050년을 기본 목표로 최대한 조기 달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2021년 기준 1,700여만 톤의 탄소를 배출한 삼성전자가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전 세계의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탄소 1,700만 톤은 소나무 20억 그루가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30년생 1그루 8.6kg/년) 그리고 자동차 800만 대 운행 중단 효과와 맞먹는다.

삼성전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탄소 직접배출을 감축하기 위해 혁신기술을 적용한 탄소 배출 저감시설에 집중 투자한다. 전력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탄소 간접배출을 줄이기 위해 글로벌 이니셔티브인 RE100에 가입했다. 2050년까지 사용 전력 재생에너지 전환을 추진한다.

5년 내에 모든 해외사업장에서는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추진한다.

또한, 제품 사용단계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을 저감하기 위해 제품의 에너지 효율 제고에 기술적 역량을 집중한다.

반도체의 경우, 초저전력 기술 확보를 통해 2025년 데이터센터와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전력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전략이다.

모든 업무용 차량(1,500여 대)은 2027년까지 100% 무공해차(전기∙수소차)로 전환할 계획이다.

자원순환 극대화를 위해선 소재 재활용 기술과 제품 적용을 연구하는 조직인 ‘순환경제연구소‘를 설립했다.

폐배터리의 경우 2030년까지 삼성전자가 수거한 모든 폐배터리에서 광물을 추출해 재활용하는 체제를 구축한다.

폐전자제품(e-Waste)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고 스마트폰을 회수하고 이를 다른 용도로 재사용하는 업사이클링 프로그램도 추진한다.

삼성전자가 15일 ‘新환경경영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삼성전자 직원이 화성 사업장 ‘그린센터(폐수처리시설)’에서 정화시킨 물로 조성한 연못에서 손을 적시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15일 ‘新환경경영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삼성전자 직원이 화성 사업장 ‘그린센터(폐수처리시설)’에서 정화시킨 물로 조성한 연못에서 손을 적시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아울러 수자원 재활용 최대화로 물 소비를 최소화하고, DS부문은 배출하는 대기와 수질의 오염물질을 최소화한다.

탄소포집∙활용 기술을 2030년 반도체 사업장에 적용할 계획이며, 미세먼지 감지∙분석∙제거 기술을 2030년 지역사회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환경분야 비영리단체인 기후솔루션은 삼성전자의 재생에너지 100% 전환(RE100) 선언을 환영한다면서 정부는 재생에너지 목표 하향 악수를 반성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기후솔루션은 “전 세계 380개 기업이 참여한 RE100에 국내 시가총액 1위이자 글로벌 브랜드 가치 5위 기업인 삼성전자의 합류를 고무적인 일로 평가한다. 국내 전력소비량 2위 기업인 삼성전자의 RE100 합류는 국내 산업계 전반의 기후대응 기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정부를 향해서는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정부의 기조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기업의 재생에너지 전환 선언이 목표를 진정 달성하려면 재생에너지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충분히 공급받을 수 있어야 함은 당연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재생에너지 확대에 얼마나 적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실질적인 RE100 달성은 정부가 재생에너지 확대는 물론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전력계통 환경을 얼마나 조속히 마련하는지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며 정부 정책에 비판하는 입장을 보였다.

[이넷뉴스=임효정 기자] im@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