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탄소중립에 주목
제주도, '2030 CFI' 목표
CFI의 핵심가치, 청정∙안정∙성장
‘제주형 분산에너지 기본계획’ 추진 등

제주도는 탄소없는 섬을 꿈꾸고 있다. (사진=이넷뉴스)
제주도는 탄소없는 섬을 꿈꾸고 있다. (사진=이넷뉴스)

[이넷뉴스]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향해 나아가면서 ‘탄소없는 섬(Carbon Free Island, CFI)’을 향한 우리나라 제주도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2018년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자료에 따르면, 제주도의 인구는 2017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전국 대비 9배 이상 높은 연평균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제주지역 최종에너지 소비도 2005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제주도는 청정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해 100% 신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전력 수요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주도 해상풍력 발전. (사진=이넷뉴스)
제주도 해상풍력 발전. (사진=이넷뉴스)

◇ CFI의 핵심가치는

제주도는 CFI의 핵심가치로 청정, 안정 성장을 선정했다.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청정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에너지 생산의 자립화, 거래 최적화, 소비 최소화를 통해 안정적 에너지 수급 구조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도민이 주도하는 혁신성장 에너지산업 생태계 조성으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핵심가치 실현을 통해 장기적으로는 제주도 내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혁신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제주 카본 프리(Carbon Free) 통합 에너지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단기적으로는 전력-수송, 장기적으로는 전력-수송-가스로 이어지는 통합 에너지시스템을 구현하고, 여기에 적극적인 도민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목표다.

제주도는 ‘탄소없는 섬’ 비전 달성을 위해 ‘CFI 2030 4대 정책목표’를 설정했다. 목표 달성을 위해 우선, 도내 전력수요 100%에 대응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 도입에 나선다. 2030년까지 도내 전력수요에 대응하는 전력 생산이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4,085메가와트(MW)를 도입한다. 도내 중앙발전기와 고압직류(HVDC) 등을 활용해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극복하고 재생에너지 출력제한도 최소화한다.

이와 함께 37.7만 대의 친환경 전기차를 도입한다. 2030년까지 50만 대의 자동차 중 37.7만 대를 친환경 전기차로 대체한다.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2030년까지 전기차 충전기 7.5만 대도 도입한다.

또한, 제주도는 최종에너지 원단위 0.071 TOE/백만 원을 실현하고자 한다. 전기차 보급 확대와 에너지수요관리 고도화를 통해 기준안 대비 23.4%의 에너지 수요를 절감하고,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최종에너지 원단위 0.071 TOE/백만 원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에너지 융복합 신산업 선도에 나선다. 다운스트림 분야를 중심으로 에너지 신산업을 육성함으로써 도내 관련 기업의 성장을 도모하고, 도민의 수익 향상을 지원한다. 제주도는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등 핵심 산업 간 융복합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고, 기존 산업과 CFI 산업 간의 상생을 도모함으로써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관련 직간접 일자리가 7.4만 개가량 창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제주도 풍력발전. (사진=이넷뉴스)
제주도 풍력발전. (사진=이넷뉴스)

◇ ‘제주형 그린뉴딜’ 추진

제주도는 ‘제주형 그린뉴딜 정책’을 추진하는 등 CFI 달성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탄소중립 섬’ 시범모델로 지정된 가파도는 국내 최초 풍력∙태양광 중심의 ‘에너지 자립 섬’이다. 가파도에는 마이크로그리드 운영센터가 운영되고 있으며, 전 지역 전선 지중화로 전봇대 없는 경관을 자랑한다.

제주도의 전기차 규모는 국내 최초로 2만 대를 돌파했다. 지난해 11월에는 전기차 충전서비스 규제자유특구 4개 사업 모두 정부로부터 임시허가를 받았다. 임시허가 기간은 2021년 12월 6일부터 2023년 12월 5일까지 2년이다. 기간 내 관계법령이 개정되지 않을 경우 2년 자동 연장된다.

제주 전기차 충전서비스 규제자유특구 사업은 ▲충전시간 단축을 위한 충전인프라 고도화 ▲점유공간 최소화를 위한 이동형 충전서비스 ▲활용성 증대를 위한 충전인프라 공유 플랫폼 ▲충전데이터 기반의 전기차 특화진단 서비스를 골자로 한다.

서귀포시 성산읍의 전기차 충전소. (사진=이넷뉴스)
서귀포시 성산읍의 전기차 충전소. (사진=이넷뉴스)

◇ ‘제주형 분산에너지 기본계획’으로 탄소중립 선도

이처럼 제주도는 2021년 기준, 870MW 규모의 태양광∙풍력 설비를 구축하고 전체 설비 중 재생에너지 비중을 39%까지 확대해 분산에너지 확대에 앞장서고 있다.

그러나 탄소중립을 향한 여정이 순탄한 것만은 아니다.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지역 주민의 재생에너지에 대한 수용성 저하 등 여러 문제들이 산적해 있다.

이에 제주도는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가 지난해 6월 발표한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산업부와 전문가 등의 협의를 통해 지역 현실과 특성을 반영한 ‘제주형 분산에너지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제주형 분산에너지 기본계획’은 분산에너지 친화형 인프라 구축을 위해 대규모 에너지저장치(ESS)를 구축하고, 그린수소(P2G), 열에너지 활용(P2H) 등 섹터커플링 기술을 활성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분산에너지 기반의 전력 신산업 육성을 위해 통합발전소(VPP), 플러스 DR(Demand Response) 확산 모델을 발굴하고, 지역특성을 가미한 마이크로그리드 구축에도 나설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재생에너지 주민 수용성·인식 개선을 위해 추진협의체·포럼을 운영하고, 중장기적으로 도내 전문 에너지연구소 설치를 검토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업계 한 관계자는 <이넷뉴스>에 "제주도는 신재생에너지 기반 분산형 에너지 활성화를 통해 탄소중립을 선도하고, 전국 유일 친환경 100% 에너지의 ‘생산∙전환’ 넘어 ‘관리’에 이르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주력하고 있다"며 "제주도가 탄소없는 섬으로 거듭날 수 있을지 우리나라를 넘어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상공에서 바라본 제주도. (사진=이넷뉴스)
상공에서 바라본 제주도. (사진=이넷뉴스)

[이넷뉴스=박민정 기자] parkminjung@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