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에너지 컨설팅 업체 우드 맥킨지, 정부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분석 결과 15일 발표
신재생 계통 접속 위한 송배전망 확충·보수 부담으로 2030년까지 전기 요금 24% 인상 예상
2030년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정부 목표보다 7%↑ 예상···2050년 탄소 중립은 희망적 전망
[이넷뉴스] 재생 에너지 확대로 2030년 국내 전기 요금이 2020년 대비 24% 오를 것이라는 컨설팅 업체 분석 결과가 나왔다. 앞서 정부는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공청회에서 2030년까지 전기 요금이 2017년 대비 10.9%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정부 예상치보다 13.1%P나 높은 셈이다. 이처럼 큰 차이를 보이는 건 업체 측이 송배전 비용 등을 다르게 계산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 “2030년까지 전기 요금 24%↑···다른 국가 비교해 합리적 수준”
16일 글로벌 에너지 컨설팅 업체 우드 맥킨지에 따르면 2030년 국내 재생 에너지 발전량은 72기가와트(GW)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전체 발전량의 38%에 달하는 수준이며, 정부 목표(34%)보다 4%P 높은 수준이다. 우드 맥킨지는 이에 대해 “재생 에너지 발전량에 대한 투자가 2020년 58억 달러(추정치)에서 2030년까지 89억 달러로 5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우드 맥킨지는 그러면서 2030년까지 국내 전기 요금이 2020년 대비 24%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가장 큰 인상 요인은 ‘송배전망’이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신재생 계통 접속 완료율은 2019년 81%에서 2020년 61%로 20%P 떨어졌다. 접속이 안 되면 수요지까지 전력을 공급할 수 없다. 우드 맥킨지는 “일부 유럽 국가는 재생 에너지 발전 비중이 30%가 되면서 (송배전망 구축 등으로) 전기료가 두 배까지 오르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우드 맥킨지는 다만 국내 전기 요금이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저렴한 점 등을 고려하면 24% 인상은 합리적 수준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 우드 맥킨지 전력 및 재생 에너지 부문 아태 지역 책임자 알렉스 휘트워스는 “이 예상치는 발전 비용 뿐만 아니라 전력망에 대한 투자 비용 등이 포함된 것”이라며 “앞으로 재생 에너지 비중을 높이면서 전력망의 안정성도 함께 높여야 하는 등 두 부분 간 긴장 관계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전력 산업 탈탄소화 위한 적극적 노력 필요”
우드 맥킨지는 한국 정부 노력에도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지난해 대비 7%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원자력 발전 비중 축소로 생겨난 에너지 공백을 재생 에너지가 아닌 석탄·가스 발전을 메울 가능성이 크다고 본 것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전력 부문 온실가스 배출 목표를 1억 9,300만톤(t)으로 설정했다. 하지만 우드 맥킨지는 전력 부문 탄소 배출량이 2030년까지 2억 5,100만t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구체적으로 우드 맥킨지는 가스 전력 용량이 2030년까지 57GW로 기존 대비 약 40%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으며, 석탄 발전은 2024년 40.6GW로 정점을 찍을 것으로 봤다. 그러나 석탄 발전소 폐지 등에 따라 2030년 33GW, 2034년 29GW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휘트워스는 “한국이 2050년까지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려면 특히 전력 산업의 탈탄소화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우드 맥킨지는 정부의 2050년 탄소 중립 달성을 희망적으로 관측했다. 전기 자동차 전환 정책 등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는 가정 아래다. 아태 지역 시장 및 이행 전략 부문 책임자 프라카시 샤르마는 "저탄소 수소,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소형 원자력, 배터리 기술 등을 활용하면 2050년 탄소 중립이 가능할 것”이라며 “2050년까지 수소 수요를 1,200만t으로 늘리고, 화석 연료 비중을 50% 밑으로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 태양광 발전은 목표치 상회···’수소 공급 자국화’는 쉽지 않을 듯
한편 우드 맥킨지는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명시된 태양광 목표 발전량의 경우 예상치를 크게 웃돌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2030년 태양광 목표 발전량을 30GW로 설정했다. 우드 맥킨지는 목표치 2배 수준인 52GW를 예상 발전량으로 제시했다. 다만 풍력은 정부 목표치(18GW)와 큰 차이(17GW)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국내에서는 16GW 규모의 태양광 및 풍력 발전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7월 국무총리 산하 수소경제위원회를 신설하고, 수소 공급 및 이용 활성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우드 맥킨지에 따르면 수소 공급 자국화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샤르마는 “한국 수소 생산량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2050년까지 전체 수소 수요의 80%는 수입을 통해 충족될 것”이라며 “수입 가능 국가로는 호주,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있다”고 말했다.
샤르마는 “현재 한국 정부는 수소 수요를 늘리기 위해 육상 교통, 제철 및 발전 분야 등에서 수요를 개발하기 위한 전략적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며 “2030년까지 한국의 수소 수요는 1.2밀리언톤(Mt)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2050년 탄소 중립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이 수치보다 10배 많은 12Mt 수준이 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넷뉴스=양원모 기자] ingodzone@enetnews.co.kr
- [팩트체크] 산림 바이오매스는 탄소 중립 에너지원? CO2 배출원?
- [전망] 재제조 산업, ‘탄소중립·신산업 육성’ 두 마리 토끼 잡을 수 있을까
- [탄소중립] 탄소중립으로 향하는 또 다른 길, 도시 광산
- [진단] 소비자 밀착 제품, ‘플라스틱 제로’ 신호탄···‘도미노’ 효과 기대하려면
- ‘골칫덩어리’ 가축 분뇨, 에너지 자립의 원천 되다
- [단독] 美, 2030까지 탄소중립 투자금 1조 달러 유치 확신
- 독일에 이어 호주서 100% 재생에너지 마을 성공
- [진단] 수소도 ‘공동구매’로···‘수소 1㎏ 4,000원’ 시대 온다
- 한전, 자체 개발한 ‘AI 기반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기술’ 본격 활용
- ‘10차 전기본’ 확정∙∙∙양수 등 저장장치에 29~45조원 투자 필요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