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30~31일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진행...최종 결과물로 ‘서울 선언문’ 채택
▲해양 오염 ▲에너지 전환 ▲청정 수소 내용 등 담겨...코로나 경제 복구 방안으로 ‘녹색 회복’ 언급 주목
일부 환경 단체 “정부와 기업이 그린워싱(환경주의자로 위장)을 하고 있다” 비판

[이넷뉴스]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가 ‘서울 선언문’ 채택을 끝으로 특별 세션을 포함해 일주일간의 막을 내렸다. 참가국·참가 단체는 2015년 파리 협정의 빠른 이행을 촉구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의 전쟁이 기후 위기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는 데 인식을 함께했다. 선언문에는 해양 오염 등 파리 협정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내용도 추가됐다.

 

◇ “기후 위기=국제적 위협...녹색 회복으로 경기 살릴 수 있어”

4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선언문에서 눈여겨 볼 주제로는 ▲해양 오염 ▲에너지 전환 ▲청정 수소 ▲ESG(환경·사회·지배 구조) 경영 등이 언급된다. 기후 위기를 경제·사회·안보·인권 관련 과제에 영향을 끼치는 ‘시급한 국제적 위협’으로 규정하면서, ‘녹색 회복’으로 침체한 경기를 살릴 수 있다고 짚은 것도 눈길을 끈다. 녹색 회복은 녹색 성장과 비슷한 개념으로, 경제와 환경이 조화를 이룬 성장을 뜻한다.

서울 선언문은 1조에서 “기후 위기는 환경 문제를 넘어서 경제, 사회, 안보, 인권과 연관된 과제들에 영향을 미치는 시급한 국제적 위협”이라며 “코로나19와의 싸움이 국제적 기후 위기 대응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녹색 회복의 이행 수준은 우리의 경제 사회를 재구성하는 한편, 파리협정 목표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향한 여정의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목할 부분은 ‘녹색 회복’이다. 선언문은 녹색 회복이 코로나19로 무너진 경제를 복구하면서, 산업화 이전(1850~1900)보다 1.5도 이상 지구 온도가 올라가지 않게 한다는 파리 협약의 성공을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용 부담 등에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평가받던 녹색 회복을 거꾸로 새 비즈니스 모델로 언급한 셈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번 회의를 기점으로 녹색 회복을 언급하는 기업이 더 많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5월 30일 오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개회식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5월 30일 오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개회식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 파리 협약 구체적 이행 방안 담겨...ESG 경영 언급 눈길

서울 선언문은 ‘온실가스 배출 제한’이란 큰 틀에서 합의를 이뤘던 파리 협약의 구체적 이행 방안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파리 협약 때 다뤄지지 않았거나, 작게 다뤄진 주제들을 테이블에 올렸다. 7조에 언급된 해양 오염과 해양 플라스틱 문제(“우리는 해양 오염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인식을 같이하고, 특히 해양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적 결속이 필요하다는 데에 동의한다”) 등이 대표적이다.

‘에너지 전환’, ‘청정 수소’도 의제로 등장했다. 선언문은 “태양, 풍력 에너지 등 재생 에너지 발전 비중 확대를 통해 에너지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국제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탈(脫)석탄, 석탄 발전소 건설에 대한 공적 금융 중단 등과 함께 “청정 수소의 사용을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정 수소는 수소 생산 과정에서 탄소를 포집해 배출을 최소화한 ‘블루 수소’, 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그린 수소’ 등을 말한다.

ESG 경영을 콕 찝은 점도 흥미롭다. 선언문은 “우리는 ESG의 가치가 기업 평가를 주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됐다고 보며, 기업이 ESG 활동을 강화하겠다고 공약할 것을 권유한다”며 “P4G 협력 사업이 ESG 기준을 존중하고, 가능한 파리 협정에 부합하는 과학 기반 경로를 추구하고 있음에 주목한다”고 밝혔다.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도입되고 있는 ESG 경영이 기업계 전반에 확산돼야 할 기조라고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5월 31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정상토론세션에서 서울선언문을 공개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5월 31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정상토론세션에서 서울선언문을 공개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 환경 단체 “정부·기업, 그린워싱”...서울 선언문·P4G 비판

문재인 대통령은 P4G 서울정상회의 마지막 날 의제 발언에서 “기후 문제는 국경이 없다. 선진국과 개발 도상국이 서로 다른 경제·사회적 여건을 이해하며 연대해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국제사회 연대를 위해 한국이 가교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 환경 단체는 P4G와 서울 선언문을 ‘가짜’로 규정하고 “정부와 기업이 그린워싱(Greenwashing·환경주의자로 위장하는 것)을 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기후위기비상행동은 지난달 31일 P4G 서울정상회의 폐회 직후 논평을 내고 “14개 국가, 국제기구의 정상이 공동으로 발표한 서울 선언문은 원론적인 기후 위기 대응 원칙을 재확인했지만, 절박한 기후 위기 상황에 걸맞은 실효적 대책은 선언문을 포함해 P4G 정상회의 기간 내내 확인할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도 서울 선언문을 “한국 정부로서는 자가당착에 가까운 선언”이라며 비판하며 “다른 국가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을 독려하기 전 한국 먼저 배출 절반 수준의 2030 NDC를 확정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선언문 채택만큼 중요한 게 앞으로 (선언문 내용을) 이행하는 것”이라며 “(선언문이) 공허한 메아리에 그치지 않도록 정부가 부단히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넷뉴스=양원모 기자] ingodzone@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