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2023년 반기별 주요 에너지·원자재 기말 가격 전망치’ 조사 결과 발표
2023 핵심 키워드는 에너지∙ESG

[이넷뉴스] 2023년 상반기, 경기 침체 속 천연가스와 석탄 가격이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8일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허창수, 전경련)는 증권사 리서치센터장(센터장) 10명을 대상으로 ‘2023년 반기별 주요 에너지·원자재 기말 가격 전망치’를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센터장들은 2023년 상반기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하면서 천연가스 가격이 소폭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와 공급 위축으로 올해 급등했던 석탄 가격도 내년에는 대체 증산 기대감으로 다소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원유는 전체 산업활동의 필수재로 수요 충격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2023년 상·하반기 가격 추이는 대체로 우상향할 것으로 예측했다.
센터장들의 추정 가격을 산술 평균 산출한 뉴욕상업거래소(NYMEX) 거래 천연가스의 MMBtu(Million Metric British Thermal Unit, 열량 단위)당 가격은 ▲2022년 11월 말 6.9달러 ▲2023년 상반기 6.3달러 ▲2023년 하반기 6.5달러였다.
석탄(국제원자재거래소)의 톤당 가격은 ▲2022년 11월 말 279달러 ▲2023년 상반기 206달러 ▲2023년 하반기 202달러로 집계됐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의 배럴당 가격은 ▲2022년 11월 말 81달러 ▲2023년 상반기 82달러 ▲2023년 하반기 84달러로 예상됐다.

센터장들은 내년 상반기 중 원자재 대부분의 가격 하락을 전망했다. 10명 중 6명은 2023년 주목할 핵심 원자재로 가격 강보합세가 전망된 ‘원유’를 선정했다.
우리나라 수입 1위 품목으로 무역 수지에 영향이 크고 정유, 철강, 화학 등 주요 제조업의 원가 구조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내년에도 원유의 가격 향방이 우리나라 경제 전반에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중동 산유국의 유가 방어 의지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공급량 제한 정책 등 공급 축소로 연결될 여지가 있는 만큼 변동성에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영훈 한화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내년에 제한된 공급, 경기 위축에 따른 수요 부진의 두 변수가 충돌하며 유가 변동성이 커질 것이라고 강조하며, 내년 전반적으로는 강보합세가 유지될 것으로 봤다.
한편, 한화투자증권도 2023년 에너지에 주목했다.
7일 한화투자증권 리서치센터가 발간한 '마켓 인사이트 2023'는 2023년 핵심 키워드로 에너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등을 선정해 분석했다.
박영훈 리서치센터장은 천연가스를 넘어 신재생에너지 전환에는 반드시 에너지 저장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세연 ESG 연구원은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대응 이슈와 러시아 문제로 에너지 자립의 중요성이 한층 더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변화의 흐름에 적극적인 기업을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넷뉴스=김진성 기자] jin@enetnews.co.kr
- [이넷포토]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조문하는 허창수 전경련 회장
- 국내 '원전 경쟁력' 탈원전 이전 대비 65% 수준···회복에 약 3.9년 소요
- 영국∙독일을 통해 살펴본 ‘전력산업 독점구조’ 해소가 필요한 이유
- 기후변화 피해액 200조 원 '훌쩍'···유럽-아시아 기후협력 강화 '속도'
- 주요국, SMR 상용화 경쟁 나서···한국 전망은?
- 일본 수출규제 1년이 지났다...한국에 미친 영향은?
- 전경련 국제경영원, ‘제 20기 경영진 법률 최고위 과정’ 개강
- 전경련국제경영원, 소셜미디어 콘텐츠 마케팅 전략 포럼 개최
- 전경련, 회원사에 내수 진작 캠페인 참여 권고
- 전경련 국제경영원, 일본 호텔·리조트 취업연계 ‘K-Move 스쿨’ 연수생 모집
- "금리인상 등에 따른 주택가격 하락으로 1분기 민간소비 둔화 우려
- " MZ세대가 선호하는 리더 순위는?
- "한류, 글로벌 열풍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국내기업 역할 커"
-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LG전자, '협력사 ESG 경영지원' 위해 '맞손'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