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넷뉴스] 대한항공이 파리-인천구간 국제선 정기편 노선에 국내 최초로 지속가능 항공연료 (Sustainable Aviation Fuel, 이하 SAF)를 도입한다.
SAF는 석유, 석탄 등 기존의 화석 자원이 아닌 동물성·식물성 기름, 해조류, 도시 폐기물 가스 등 친환경 원료로 만들어진 항공유다. 화석자원을 기반으로 한 기존 항공유보다 2배~5배가량 비싸다고 알려졌으나, 원료 수급부터 소비까지 전 단계에서의 탄소 배출량을 기존 항공유에 비해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다. SAF는 항공업계의 주요 탄소감축 수단으로 최근 유럽 및 미국을 중심으로 생산 및 공급을 위한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다.
SAF의 사용량은 생산시설과 공급망 부족으로 아직 전 세계 항공유의 0.1% 수준에 불과하지만, 최근 프랑스 정부는 자국 내 항공유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최소 1%의 SAF를 혼합하여 공급하도록 법제화 한 바 있다.
대한항공은 SAF 혼합 공급으로 인한 비용증가 우려에도 항공산업의 탄소배출 감축과 친환경 연료로의 전환 필요성에 공감해 파리-인천 정기편 노선에 SAF 도입을 추진한다. 지난 2017년 11월 국내 최초로 SAF를 사용 미국 시카고-인천 구간을 한차례 운항한 바 있으나, 정기편 노선에 SAF를 도입하는 것은 지속가능 경영에 대한 대한항공의 의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대한항공은 지난해 현대오일뱅크와 바이오항공유 사용기반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 (MOU)를 체결해 지속 협력중에 있으며, SK에너지로부터 국내선 항공편에 사용될 탄소중립 항공유도 구매 한 바 있다. 또한 지난 2월 인천국제공항공사, 에어버스, 에어리퀴드와 ‘항공업계와 공항의 수소 공급 및 인프라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을 체결하는 등 탄소 감축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이어 가고 있다.
앞으로도 대한항공은 국내외 운항노선의 SAF 도입을 포함 다양한 부문에서 탄소 감축 및 기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등 ESG 경영에도 힘써나갈 계획이다.
[이넷뉴스=박민정 기자] parkminjung@enetnews.co.kr
- 대한항공, 차세대 친환경 항공기 '보잉737-8 1호기' 도입
- 대한항공, 수소 항공기 시대 인프라 구축 ‘박차’···탄소중립 적극 나선다
- 항공업계에도 탄소중립 바람···인천공항-항공업계, 수소공급 위한 업무협약
- 대한항공 GREEN SKYPASS, “마일리지 쓰면 친환경 숲 조성 기금 쌓인다”
- 항공 탄소감축제도 시범 운영···바이오항공유 기술 현황은?
- [e브랜드평판] 현대오일뱅크, 주유소 브랜드평판 1위··GS칼텍스·에쓰오일 뒤쫓아
- 인천공항, 폐기되는 전자제품 자원순환 동참
- 대한항공, 항공사 상장기업 9월 브랜드평판 1위···한진칼·제주항공 뒤이어
- 인천공항, 일본인 관광수요 유치로 본격적 수요 회복 나선다
- [특징주] 대한항공 주가 하락···3분기 국내 9개 항공사 중 관심도 가장 높아
- [특징주] 대한항공 주가 하락···스카이트랙스 선정 세계 10대 항공사 선정
- 대한항공, 항공사 브랜드평판 1위···한진칼·아시아나항공 뒤쫓아
- [ESG 특징주] 대한항공 주가 상승···3분기 상생경영 관심도 1위
- 인천공항공사, 2022년 하반기 인천지역 사이버보안협의회 개최
- 대한항공, 항공사 브랜드평판 1위···한진칼·제주항공 뒤쫓아
- [특징주] 대한항공 주가 하락···소비자중심경영 인증 2회 연속 획득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