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바이오클러스터인 미국 동부서 글로벌 바이오 CEO들과 연쇄 회동

이넷뉴스 =7일 업계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세계 최대 바이오클러스터인 미국 동부에서 글로벌 빅파마(Big Pharma) 및 바이오 벤처 인큐베이션 회사 등 바이오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글로벌 최고경영자(CEO)들과 연쇄 회동을 가졌다. 이를 통해 ‘제2반도체 신화’ 구현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이 회장은 ▲호아킨 두아토 J&J CEO ▲지오반니 카포리오BMS CEO ▲누바 아페얀 플래그십 파이어니어링 CEO ▲크리스토퍼 비에바허 바이오젠 CEO ▲케빈 알리 오가논 CEO와 만나 바이오 사업 경쟁력 강화 및 신사업 발굴을 위한 상호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J&J는 창립 140여년의 역사를 가진 글로벌 바이오 제약사로 삼성의 주요 고객이다. ▲BMS는 2013년 삼성에 의약품 생산 첫 발주를 함으로써 삼성의 바이오 사업이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기업이다.
▲플래그십의 누바 아페얀 CEO는 모더나의 공동 설립자로서 삼성과 mRNA백신 생산계약을 통해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에 함께 기여했다.
▲바이오젠은 삼성바이오로직스와 합작해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설립했다. 지난해 바이오에피스 지분을 모두 삼성에 매각했지만 삼성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유럽지역 유통과 판매를 담당하는 등 현재도 긴밀한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
이 회장이 바이오 업계 리더들과 연쇄 회동을 한 것은 바이오 산업 전반에 걸쳐 글로벌 협업을 한층 더 강화함으로써 바이오 사업을 ‘제2의 반도체’로 육성하기 위함이라는 사측 설명이다.
이 회장의 폭넓은 글로벌 네트워크는 삼성 바이오 사업이 빅파마들과의 협업을 확대하며 미래성장동력을 창출하는 ‘지렛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회장은 제약사와의 미팅 후, 북미 판매법인 직원들을 만나 글로벌 공급망 현황을 점검하고 격려했다.
이 회장은 “출발점은 중요하지 않다, 과감하고 끈기있는 도전이 승패를 가른다, 반도체 성공 DNA를 바이오 신화로 이어가자”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5일부터 이날까지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항구축제인 ‘제834회 함부르크 개항축제’에서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 활동을 홍보했다.
매년 1백만 명 이상이 찾는 함부르크 개항축제에서 올해 부산시가 주빈도시로 선정됐으며, 축제와 연계해 ‘대한민국–부산 페스티벌’도 진행됐다.
삼성전자는 축제 기간 동안 행사장 공식 무대의 대형 스크린을 통해 부산세계박람회 홍보 영상을 상영했다. 또 삼성전자의 다양한 제품 광고에도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삼성전자가 응원합니다’라는 메시지를 담아서 선보였다.
이넷뉴스 = 김진성 기자 jin@enetnews.co.kr
- "재밌어요" 삼성전자 DX 부문,임직원·협력회사 가족에 특별한 경험 선물
- "수소버스의 대중화"···환경부·SK E&S·현대차,기업 통근버스 수소버스로 전환
- 삼성전자, 반도체 5월 브랜드평판 1위···SK하이닉스·한미반도체 뒤쫓아
- 삼성전자 1분기 매출, 전분기 대비 9.5%↓···ESG 경영 지속 계획 밝혀
- 삼성전자, 스마트싱스로 중동 소비자 사로잡을까
- 갤럭시 워치 시리즈에 ‘불규칙 심장 리듬 알림’ 기능 추가된다
- "탄소중립 위한 재생에너지 기술 개발" 삼성전자-에너지기술연구원, 어깨동무
- ‘갤럭시 A24’ 국내 출시된다···스펙 살펴보니
- 프리미엄 TV 앞세운 '삼성전자', 1분기 글로벌 TV 시장서 32% 점유율 기록
- 삼성전자가 알려주는 안전한 여름나기 위한 '에어컨 자가 점검 방법'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