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대응하기 어려워
수력발전, 가변성 재생에너지의 변동성 보완

[이넷뉴스] 인도가 수년간 수력발전을 소홀히 한 결과, 심각한 전력공급 중단 위험에 직면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9일 비즈니스 스탠다드에 따르면, 인도는 다가오는 여름과 향후 몇 년간 심각한 야간전력 공급이 중단될 위기에 처해 있다. 새로운 수력발전 건설이 지연되면서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가 전력을 생산할 수 없을 때, 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대응하기 어려워지면서다.
청정에너지인 수력발전은 태양광이나 풍력발전과는 달리 일정한 출력으로 전기를 생산한다. 필요할 때 언제든 출력을 조절할 수 있어 풍력∙태양광과 같은 가변성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보완한다.
로이터통신이 검토한 연방 전력망 규제 기관 내부 자료에 따르면, 오는 4월 태양광이 없는 시간 인도의 전력 가용성은 피크 수요보다 1.7% 낮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4월 야간 피크 수요는 지난해 4월 기록된 야간 최대 수요보다 6.4% 증가한 217기가와트(GW)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야간 정전 위험은 자동차, 전자제품, 철근 및 비료제조공장을 포함, 24시간 운영되는 산업을 위협하고 있다.
30년간 종이를 제조해 온 인도의 한 종이제조업체 관계자 나이어(Nair)는 “1분이라도 정전이 되면 종이 펄프가 막혀 섬세한 공정이 엉망이 돼 수십만 루피의 손실이 발생한다"며 "전원 공급 장치가 조금만 중단되더라도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도 최대 전력회사인 인디아파워그리드(Power Grid Corporation of India)의 전력 부족 예측치는 인도 기상청이 3~5월 사이의 폭염을 예측하기 몇 주 전 이뤄졌기 때문에 올여름 인도의 전력 부족 상황은 예상보다 더 심각할 수 있다.
게다가 수력발전 추가 건설이 외국인 투자 부족과 안전 및 환경 문제와 관련된 반대에 부딪혀 더 큰 장애물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
[이넷뉴스=이효민 기자] hyomin7@enetnews.co.kr
- 인도네시아, 수력발전 건설착수∙∙∙조코위 대통령 “경제적 변혁, 녹색경제로”
- 라이베리아, 수력발전 용량↑∙∙∙웨아 대통령 “경제∙사회발전과 연결”
- 국제재생에너지기구 “파리협정 목표달성 위해 수력발전 투자 5배 늘려야”
- '파키스탄 수력발전' 위해 동서발전-남동발전 ‘맞손’
- 아시아∙아프리카, 전 세계 수력발전 잠재력 85% 차지
- 루마니아∙불가리아 2개 수력발전소 건설∙∙∙기후변화 늦출 열쇠 될까
- 청정에너지원 ‘수력∙양수발전’ 속속 건설
- 탄자니아, 3조5000억 규모 수력발전으로 에너지믹스 다양화∙∙∙우리나라는
- 극심한 가뭄 시달린 중국, 두 번째로 큰 수력발전 완공∙∙∙단비 될까
- 정부, 가뭄 장기화 우려∙∙∙가뭄 대응 수단으로 ‘양수발전’ 주목
- 세계수력협회 “아르메니아 발전사 CGHC 사명, IHA 목표와 일치”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