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노후경유차 및 건설기계 4만 3,563대 1,257억 원 저공해조치 지원
배출가스 4등급 노후경유차 1만 9,038대 조기폐차 761억 원 전국 최대 지원
2023년 5등급 경유차 저공해조치 지원 종료 예정

[이넷뉴스] 경기도가 내년 배출가스 5등급·4등급 노후 경유차와 노후 건설기계 4만 3,563대를 대상으로 1,257억 원을 투입해 저공해 조치를 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세부 사업별로는 ▲5등급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2만 408대 ▲4등급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1만 9,038대 ▲노후건설기계 조기폐차 1,752대 ▲노후경유차 저감장치 부착 1,212대 ▲노후건설기계 엔진교체 325대 ▲노후건설기계 저감장치 부착 4대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 동시저감 장치(PM-NOx) 부착 13대 ▲노후경유차 폐차 후 LPG 화물차 신차구매 지원 811대 등이다.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개정에 따라 내년부터는 배출가스 4등급 경유차도 조기폐차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기존 5등급 조기폐차 지원은 내년을 마지막으로 종료될 예정이다.
4등급 경유차는 2006년 제작차 배출허용기준(유로4)에 맞춰 생산된 차량으로 3등급 차량보다 미세먼지 발생량이 최대 12배 많다. 경기도는 멸실 등을 제외한 약 19만 대의 4등급 차량 중 10%인 1만 9,038대에 대해 조기폐차 비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건설기계 발생 미세먼지 저감에 집중하기 위해 기존 도로용 3종(덤프트럭, 콘크리트믹서, 콘크리트펌프)만 조기폐차를 지원했으나, 비도로용 2종(굴착기, 지게차)까지 확대한다.
저공해 조치 지원을 받기 원하는 노후경유차나 노후건설기계 차주는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 누리집을 통해 저공해조치 신청하면 된다.
박대근 경기도 미세먼지대책과장은 “곧 제4차 미세먼지 계절관리기간 운행제한 단속이 시작되고 5등급 경유차 조기폐차 지원이 종료될 예정인 만큼 해당 차량의 소유주들의 신속한 저공해조치 참여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이넷뉴스=임효정 기자] im@enetnews.co.kr
- 대전시, 올해 수소차 300대 보급···대당 3250만원 지원
- 광주시, 대기환경 개선에 760억 투입한다
- 진주시, 탄소 배출 없는 수소전기차 보급 속도 낸다
- 김포시, 탄소중립‧신재생에너지 선도도시로 간다
- 수소화물차, 시범운영 5대를 시작으로 2030년 1만대 달린다
- 2022 예산으로 살펴본 탄소 중립···의지는 있지만 실천력은
- 가스공사, LNG 화물차 보급으로 친환경 물류 실현 앞장
- 경유차 ‘매연저감장치’ 선박에도 달아 해양 미세먼지 ‘확’ 줄인다
- 서울시, 무공해차 대중화로 친환경 도시 꿈꾼다
- 올해 글로벌 수소차 판매량 1만대 돌파···현대차 1위 지켜
- 경기도, ‘2022 탄소중립 엑스포’서 스마트제조혁신 우수성과 알려
- 경기도 도시숲 2곳, 전국 녹색도시 모범 사례 선정
- 김동연 경기도지사, 글로벌 탄소저감 기술기업 ‘플라스틱에너지’에 투자요청
- 여성 정보기술취·창업 포트폴리오 수상작, 온라인 전시회 개최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