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넷뉴스] 현대제철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세계 최대 광산업체 중 하나인 브라질 Vale사와 온실가스 배출 감축 대응 및 저탄소 원료 개발 등 상호 협력방안 모색을 위한 MOU를 최근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MOU는 사회적으로 탄소배출 감축 요구가 점점 커지면서 사업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경쟁력 있는 저탄소 원료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등 양사 모두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이해가 일치하면서 이뤄졌다.
현대제철의 경우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20% 감축하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게다가 자동차 산업을 비롯한 철강 수요업계에서도 향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저탄소 강판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Vale 역시 파리협약에 따라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두 회사는 앞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방안 도출 및 저탄소 철원 솔루션에 대한 타당성 평가를 수행하는데 협력하고 이에 대한 논의 및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MOU에서 관심을 끄는 부분은 향후 저탄소 대체제로 기대하고 있는 철광석 브리켓(Iron Ore Briquettes)의 타당성 검토이다. 철광석 브리켓이란 약 200℃의 저온에서 생산된 저탄소 철원으로 고로의 소결, 괴광 및 펠렛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됐다.
현대제철은 철광석 브리켓을 비롯해 고품위 펠렛, HBI 등 다양한 저탄소 철원에 대한 기술 (Technical) 및 타당성 검토도 함께 진행할 예정이며 향후 제품 공급을 위한 조인트벤처 설립 추진 등 사업화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Vale와 향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저탄소 철원 전반에 대한 협력 분야를 확대할 것"이라며 "이밖에도 철강산업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기술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넷뉴스=김진성 기자] jin@enetnews.co.kr
- 현대글로비스, ‘에어프로덕츠’와 글로벌 수소 공급망 구축 협력
- 현대차그룹, ‘2040년 수소에너지의 대중화’ 선언
- 철강업계, 신성장동력으로 ‘해상풍력시장’ 주목
- 탄소중립·스마트센서 '민간 R&D 협의체' 첫 발 뗐다
- ‘탈석탄 시대’ 준비하는 철강 업계···전략 수립에 속도
- 국내 기업들 ESG 경영 박차···2030년 코스피상장사 ESG 정보공시 의무화
- 현대차그룹, 2020년 하반기 임원 인사
- 현대제철, 철강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1위···포스코홀딩스 평판 2위로 하락
- [특징주] 현대제철 주가 하락···현대엔지니어링·해전산업·강구조학회와 MOU
- [특징주] 현대제철 주가 상승···‘포스코케미칼’과 맞손
- [특징주] 현대제철 주가 하락···영업이익 전년 대비 33.9% 감소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