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미영 부사장 "AI기술이 소비자의 일상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고려해 책임 다할 수 있도록 노력"

강명수 한국표준협회장(왼쪽)과 유미영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부사장(오른쪽)이 15일 서울 강남구 한국표준협회에서 열린 수여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강명수 한국표준협회장(왼쪽)과 유미영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부사장(오른쪽)이 15일 서울 강남구 한국표준협회에서 열린 수여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이넷뉴스 = 한국표준협회는 삼성전자 생활가전(DA) 사업부에 인공지능(AI) 경영시스템(ISO/IEC 42001) 인증을 수여했다.

인공지능(AI) 경영시스템(ISO/IEC 42001) 인증은 AI 기반의 제품∙서비스를 개발하거나 제공할 때 회사가 AI 윤리나 신뢰성 관련한 리스크 대응과 관리를 책임감 있게 수행하는지를 평가한다.

한국표준협회는 AI 가전 제품∙서비스의 기획, 개발, 양산, 폐기까지 전 생애주기에 걸쳐 AI와 관련된 보안, 공정성, 투명성, 데이터와 시스템 품질의 신뢰성 등을 적절히 관리하고 있는지 평가하고 인증했다.

삼성전자는 2019년 AI 기술의 편의성은 극대화하고, 부작용은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사회적∙윤리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공정성▲투명성▲책임성의 3대 원칙을 중심으로한 ‘AI 윤리 원칙’을 수립한 바 있다.

삼성전자 로봇 청소기 ‘비스포크 제트봇 AI’는 ▲지역별 출시 일정에 따라 견종과 같은 데이터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지속적으로 데이터의 편향성을 최소화하고 ▲청소 중 인식된 사물 정보를 청소 결과와 함께 사용자만 확인 가능하도록 권한을 부여하고, 획득한 정보는 24시간 이내로만 보유해 투명하게 관리한다.

▲개인 정보 저장 시 보안 프로토콜과 암호화를 적용하고, 제한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등 보안 솔루션을 강화하는 등 3대 AI 윤리 원칙을 지키고 있다.

올해 하반기 ISO/IEC 42001:2023가 국제표준(ISO)으로 최종 제정되면, 이번 국제표준안(DIS) 인증에서 국제표준(ISO)으로 전환심사도 진행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유미영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소비자들이 보다 신뢰하며 사용할 수 있는 AI 가전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 전후에 걸쳐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관리하고 있다. 공정하고 투명한 AI 기술을 만드는 것은 물론 AI 기술이 소비자의 일상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국표준협회 강명수 회장은 “이번 인증 수여는 삼성전자가 인공지능 기술 혁신과 품질 개선에 끊임없이 투자한 대표적인 결과물이다. 한국표준협회는 앞으로도 국내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공지능 표준 및 인증에 대한 정보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넷뉴스 = 임효정 기자 im@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