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 ‘국내기업의 자발적 탄소시장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발표

디자인=이넷뉴스
디자인=이넷뉴스

[이넷뉴스] 전 세계적으로 자발적 탄소시장(Voluntary Carbon Market, VCM)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대부분의 기업은 자발적 탄소시장이 탄소감축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발적 탄소시장이란 개인, 기업, 정부 등이 자발적으로 탄소 감축에 참여해, 감축 실적을 거래하는 시장이다. 탄소시장은 ‘규제 시장(Compliance Market)’과 ‘자발적 탄소시장(Voluntary Market)’으로 구분된다.

7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국내기업의 자발적 탄소시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응답기업의 66.8%가 자발적 탄소시장이 탄소감축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업이 기대하는 자발적 탄소시장의 역할은 ‘감축 활동에 대한 정당한 평가’(46.3%)가 가장 많았다. 배출권거래제 시장인 ‘규제 시장의 보완적 수단’(40.6%), ‘기후테크 기업의 비즈니스 기회 창출’(7.0%), ‘친환경 투자 유도’(6.1%)가 뒤를 이었다.

응답기업의 40%는 자발적 탄소시장을 통해 탄소 감축제품·기술·서비스 개발 및 판매 까지도 감축실적으로 인정받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박호정 고려대학교 교수는 “기업들이 탄소 문제에 관심을 가지면서 드론, IoT, 통합발전소(VPP)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 탄소감축에 기여하고 있다. 경직된 규제시장에 대한 보완적 수단으로 자발적 시장을 통해 다양한 감축활동 인센티브를 부여한다면 사회 전반에 탄소감축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감축실적을 인증받길 원하는 이유로는 ‘탄소중립 달성’(45.0%)과 ‘ESG 활동 홍보’(43.6%)를 꼽았다. ‘상쇄배출권 확보’(26.2%), ‘국제 이니셔티브 참여 및 대응’(17.4%) 등이 뒤를 이었다.

정부 지원과제로는 ‘배출권거래제 연계’(35.8%)가 가장 많았고, 이어 ‘국가 감축목표(NDC)와의 연계’(28.4%), ‘자발적 탄소시장 운영지침 마련 등 신뢰성 확보’(21.8%) 순이었다. 반면, 자발적 시장의 독립성 유지를 위해 ‘민간 주도 시장 운영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은 14%로 집계됐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앞으로 기업이 탄소감축의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자발적 탄소시장 확대가 필수적이다. 대한상의는 정부, 전문가, 업계, NGO 등과 협력해 신뢰성 있는 인증센터를 구축하고 한국을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의 중심으로 성장시켜나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1월 기업의 자발적 탄소감축 활동을 평가해 감축성과를 인증할 목적으로 대한상의 탄소감축인증센터를 설립했다.

센터는 기업의 제품, 기술, 서비스를 통해 탄소를 절감하는 방법과 감축성과를 평가하는 ‘대한상의 탄소감축인증표준(인증표준)’을 마련했다. 인증표준은 자발적 탄소감축 인증 관련 글로벌 표준으로 평가되는 청정개발체제(CDM)와 베라, 골드 스탠다드 등의 시스템을 벤치마킹해 만들었다.

센터는 인증의 신뢰도와 객관성 강화를 위해 독립 거버넌스 체제로 운영한다. 이를 위해 운영위원회와 인증위원회를 구성한다. 아울러 국내외 감축제도에 검증기관으로 등록돼 있거나 국제기준을 충족해 공신력 지닌 검증기관의 제3자 사전 검증도 의무화했다.

인증절차는 ‘방법론 및 사업계획서 작성→제3자 검증→인증위원회 심의∙등록→모니터링보고서 작성→제3자 검증→인증위원회 심의․인증서 발급으로 진행된다.

[이넷뉴스=김진성 기자] jin@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