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레핀 생산 시설 준공식 개최
연간 총 7만6,000톤 탄소배출 저감 효과

[이넷뉴스] GS칼텍스가 종합 에너지 기업(Total Energy Company)으로의 도약에 나선다.
11일 GS칼텍스(대표 허세홍)는 창사 이래 최대 투자 금액인 2조 7,000억 원을 투자한 올레핀 생산 시설(MFC시설(Mixed Feed Cracker)) 준공식을 개최했다. 준공식에는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산업부) 박일준 제2차관도 참석했다.
MFC시설은 에너지 전환(Energy Transition) 및 ESG 경영 추진을 위한 재원을 마련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GS칼텍스는 MFC시설 준공을 통해 연간 에틸렌(Ethylene) 75만 톤, 폴리에틸렌(Polyethylene) 50만톤, 프로필렌(Propylene) 41만 톤, 혼합C4유분(Mixed C4) 24만톤, 열분해가솔린(Pygas) 41만 톤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
GS칼텍스는 MFC시설과 기존 생산 설비와의 연계 운영을 통해 경쟁력 우위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MFC시설은 기존 석유화학 시설 대비 경쟁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MFC시설은 나프타를 원료로 투입하는 석유화학사의 나프타분해시설(NCC)과는 달리 나프타는 물론 정유 공정에서 생산되는 액화석유가스(LPG), 석유정제가스 등 다양한 유분을 원료로 투입 가능하다. 기존 고도화 시설에서 발생하는 석유정제가스를 원료로 사용할 수 있어, 같은 생산 능력을 가진 석유화학 시설 대비 에너지 사용량을 약 10% 감축할 수 있다.
또 나프타 및 석유정제가스를 원료로 활용해 수소를 부가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석유정제 공정의 수소 생산을 대체해 LNG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간 총 7만 6,000톤의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이는 30년생 소나무 1,150만 그루가 연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과 맞먹는다.
아울러 건설기간 중 연 인원(인원수x날짜) 약 280만 명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설계·구매 등에 지역 중소업체들이 참여하면서 7,000억 원 이상의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했다.
GS칼텍스 허세홍 사장은 “MFC시설 준공은 비정유 사업 비중이 확대되는 사업 다각화와 성장성을 동시에 이루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 다양한 제품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허 사장은 “앞으로 다양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최고 수준의 석유화학 경쟁력을 갖춰 나가게 될 것이다. GS칼텍스는 정유 사업에 더해 석유화학 사업, 친환경 에너지, 자원 재활용까지 포괄하는 종합 에너지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일준 제2차관은 축사를 통해 “GS칼텍스는 전통적인 정유기업에서 출발해 이번 석유화학(MFC) 시설 준공을 통해 종합 에너지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러·우 전쟁 이후 석유, 가스 등 국제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는 가운데, 3고 현상(고환율, 고금리, 고물가) 등 영향으로 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정부는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총력 대응해 업계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넷뉴스=임효정 기자] im@enetnews.co.kr
- GS칼텍스-네슬레코리아, 순환경제 구축···업사이클링 방식 실현
- [수소경제 톺아보기 ③] 액화수소, 수소 시장 효율성 극대화 기대···국내 관련 인프라 조성 촉진
- 정유업계 그린사업 전환 가속화 '핵심은 수소'
- [e브랜드평판] GS칼텍스, 주유소 브랜드평판 1위···현대오일뱅크·에쓰오일 뒤이어
- GS칼텍스∙동서발전 등 8개 기업, CCUS 사업 위해 ‘어깨동무’
- ‘LNG 안보’ 관련 국회 토론회 열린다
- [e브랜드평판] GS칼텍스, 주유소 브랜드평판 1위···현대오일뱅크·에쓰오일 상위권
- [e브랜드평판] GS칼텍스 주유소, 주유소 브랜드평판 1위···에쓰오일···SK에너지 뒤이어
- [e브랜드평판] GS칼텍스, 주유소 브랜드평판 1위···현대오일뱅크·에쓰오일 뒤쫓아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