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한화진 환경부 장관과 만나 ‘규제 개선 핫라인’ 구축
최 회장 “기업의 탄소중립 투자·창의 이끌어낼 법제도 환경 조성, 인센티브 확대 필요”
한 장관 “탄소중립 이행과정의 규제 걸림돌 신속히 개선해나갈 것”
상의 건의 적극 검토···'사용후 배터리, 순환자원으로 인정’, ‘해외 온실가스배출권의 국내 전환 절차 간소화’ 등

[이넷뉴스 임효정 기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 회장은 6일 오후 2시 대한상공회의소 회관에서 한화진 환경부 장관과 만나 대한상의-환경부 간 규제 핫라인을 구축하고, 앞으로 기업들의 탄소중립 이행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함께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최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최근 주요국의 기후펀드 규모가 2배씩 성장하는 등 글로벌 자산이 탄소중립으로 향하고 있는 상황에서 많은 기업들이 탄소중립을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로 보고 준비하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기업의 더 많은 투자와 창의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규제 걸림돌 해소를 비롯해 정부의 명확한 정책 시그널과 경제적 보상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탄소중립의 흐름이 글로벌 경제·사회구조의 근본적 변화를 만들고 있으며, 기업에도 새로운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정부는 기업이 탄소중립에 투자할 수 있는 유인구조를 강화하는 역할에 적극 나설 것이며, 이 과정에서 환경부-산업계의 긴밀한 협력체계가 중요하다”고 답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대한상의가 지난 5월 발표한 ‘산업계 탄소중립 관련 규제실태와 개선과제’에 대해 환경부 측에서 검토 입장을 전했다.
대한상의는 지난 5월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시 폐기물 규제 제외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제조규격 현실화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기술로 포집된 이산화탄소 재활용 시 폐기물 규제 제외 및 허용범위 확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상쇄배출권 활용한도 확대 ▲해외 온실가스 배출권의 국내 전환절차 간소화 등을 건의한 바 있다.
환경부는 “사용후 배터리를 폐기물 규제에서 면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으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제조규격 관련 규정 개정을 검토한 후 조속히 진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어 CCUS 기술과 관련해서는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폐기물이 아닌 것으로 유권해석을 통해 이미 해소했고, 재활용 범위 확대를 위해 올해 말까지 예정된 실증사업 결과를 토대로 폐기물 규제 제외 여부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에 대해서도 해외 온실가스 배출권의 국내전환 절차 간소화 방안과 신·증설시 온실가스 배출권 추가할당 조건을 합리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넷뉴스=임효정 기자] im@enetnews.co.kr
-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에너지 안보’ 어느 때보다 중요”
- “ESG경영 중요성↑∙∙∙한국 산업 전반 ESG경영 수준 제고해야”
- “윤석열 정부 에너지정책, ‘과학적∙경제적∙민주적’이어야”
- 국가 산업경쟁력 고려한 '탄소중립 시대 에너지정책 방향' 토론회 개최
- 윤석열, ESG경영 사각지대 없앤다···'전담 컨트롤타워' 추진
- 저탄소경제의 시작 ‘배출권거래제’···“계획은 있지만, 수립은 힘들다”
- 한국-호주, ‘탄소중립·수소·핵심광물 협력확대 논의’
- IBK기업은행-대한상공회의소, ‘ESG경영 성공지원대출’ 출시
- 기업 10곳 중 7곳 ‘ESG 중요하다’고 인식···自社 ESG경영 수준은 낮아
- 대한상의, ‘제7차 ESG경영 포럼’ 개최····ESG 이슈와 대응방안 논의
- 대한상의, 산업별 ESG 대응·기업소통 위한 ‘워킹그룹’ 조성
-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회장, 제4대 금융산업위원회 위원장 선출
- 대한상의, 청년 서포터즈 100명 모집···우수활동자 대한상의 취업 시 가점
- 반도체 중국 수출 비중 “20년새 13배 늘어”
- "고환율, 2023년 상반기까지 지속된다" 전망 나와
- 금융권 "투자기업 기후리스크 측정 가이드라인 필요해"
- 최태원 회장, '2025 엑스포' 유치 성공한 일본 관계자들 만났다
- 불합리한 규제·애로, 대한상의 ‘규제애로접수센터’서 접수한다
-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 4년 결실···중소기업 905개사 디지털전환 이끌어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