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원회, 민관 합동 컨트롤타워 신설···중소기업 ESG 적극 지원
대기업 ESG위원회, 사실상 운영 무의미
중소기업 ESG 경영 세제 혜택 약속

윤석열 당선인이 전담 컨트롤타워 추진에 나선다. (사진=픽사베이, 당선인 SNS)
윤석열 당선인이 전담 컨트롤타워 추진에 나선다. (사진=픽사베이, 당선인 SNS)

[이넷뉴스] 기업 운영에 대한 ESG(Environment·Social·Governance, 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가 필수로 이뤄지는 가운데 새 정부의 ESG 정책 변화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ESG경영의 일환으로 지속가능한 가치에 주력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대기업에 치우쳐 있다는 지적이 많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ESG 관련 민관 합동 컨트롤타워를 설치해 ESG경영 사각지대인 중소기업에 더욱 현실적인 방책을 도모한다. 민간과 정부가 합작해 지속가능한 경영가치 실현 방안을 살필 예정이다.

신산업시대와 지속가능성이라는 새로운 대제 아래 자칫 피상적인 흐름에 그칠 수 있는만큼 기업들에 대한 보완책과 혜택도 필수적이다. 올 상반기 새로운 정부 출범과 함께 ESG경영에도 상당한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ESG경영 확산을 위해서는 중소기업 혜택지원이 필수적이다. (사진=픽사베이)

◇ 인수위원회, 중소기업 ESG 강화···합동 컨트롤 타워 설치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본격적인 중소기업 ESG 경영 활성화를 위한 민관 합동 컨트롤타워를 추진한다. 윤석열 당선인은 대선 공약으로 중소벤처기업 ESG경영 로드맵 마련, ESG 경영평가 표준화 등을 강조한 바 있다.

그동안 ESG 경영이 대기업에 치우쳐 있다는 점도 민관 합동 컨트롤타워 신설의 주요 원인이다. ESG경영이 전체 경영 트렌트라는 인식이 자리잡았지만 일정한 ESG경영에 대한 표준화는 마련돼 있지 않았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ESG경영 실현이 대기업에 비해 느리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미미한 ESG경영 표준화는 업계 혼란을 가중시키기도 한다. ESG 경영 전문가들은 “중소기업들은 ESG경영 흐름에 즉각적으로 따르기에는 자본, 인력에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며 “ESG 경영에 대한 표준화, 혜택 등이 활발해지면 중소기업들의 ESG 경영에 대한 의식과 책임감도 오를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작년에 산업통상자원부가 ESG 경영 평가에 대한 지표를 발표한 바 있지만 이마저도 대기업에 치우쳤다는 지적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2월 기업들의 ESG경영 평가 가이드라인인 K-ESG를 발표했지만 최근 증가하고 있는 스타트업 및 벤처기업의 실정을 반영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해석이다.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ESG경영 평가 및 경영 컨설팅 업체도 대부분 대기업에 쏠려있다”며 “자연스럽게 ESG 경영 평가 기준도 대기업에 맞춰져있어 중소기업들의 ESG경영을 고려한 지표 개선이 우선적이다”라고 강조했다.

대기업은 SG위원회 설치 비율이 높지만 사실상 형식적인 운영이라는 지적이다. (사진=픽사베이)
대기업은 SG위원회 설치 비율이 높지만 사실상 형식적인 운영이라는 지적이다. (사진=픽사베이)

◇ 대기업 ESG경영···피상적 운영 도마 위

대기업들의 ESG경영은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을까. 대기업들은 각 사내 ESG위원회를 설치하고 있지만 형식적인 운영이라는 지적이다.

기업분석연구소는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국내 자산규모 2조 원 이상인 169개의 기업들에 대해 ESG경영 실태를 평가한 결과 이 중 절반 이상인 88개의 기업이 ESG위원회를 설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ESG위원회는 월 평균 1회 이하의 회의를 진행한 것으로 조사되면서 피상적인 운영이라는 평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최대 1회 가량에 그친 회의에서 이루어진 안건도 투자, 합병 등 ESG경영과 무관한 주제가 다뤄지면서 사실상 위원회 형성 의의를 찾기 힘들다.

대기업 중에서 유일하게 ESG 경영회의를 가장 많이 한 기업은 SK다. 작년 한 해만 41건의 ESG경영 관련 안건을 처리했다. 이 외 미래에셋생명, 현대모비스, 현대자동차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연구소 측은 “ESG경영 관련 일정한 평가 지표가 엄격히 적용되지않아 대부분의 기업에서 ESG위원회 회의는 안건 검토 수준에 그쳤다”며 “인수위원회의 민관 합동 컨트롤타워를 시작으로 업계들의 ESG경영 변화를 기대해볼 수 있다”고 전했다.

◇ 尹, 중소기업 ESG경영 인센티브 강조

윤 당선인은 중소기업 ESG 경영 활성화 방안으로 세제 감면을 약속했다. 윤 당선인은 ESG경영이 기업 성장에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만큼 정부의 일정한 세제 혜택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사진=)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2월 7일 세종대로 대한상의회관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초청 특별강연을 개최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특별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대한상공회의소 제공)

윤 당선인은 대한상공회의소 강연 자리에서 “아직까지 모든 중소기업들이 ESG 경영을 행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며 “중소기업들이 이행할 수 있는 수준의 ESG 경영 지표를 표준화한 후 이를 달성한 중소기업들에 대한 세제 혜택이 이뤄져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해외에서도 중소기업들에 대한 세제 혜택으로 ESG경영 확산 사례가 있다”며 “선진국의 자산운용 선례를 참고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새 정부 출범이 ESG경영 확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지 기업들의 향방에 이목이 쏠린다.

[이넷뉴스=문경아 기자] mka927@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