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환경분야 특성화고등학교가 속한 4개 교육청 및 전문전담기관(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상호 업무지원 협약체결

[이넷뉴스] 환경부(장관 한정애)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유제철)은 미래 탄소중립과 녹색산업을 주도할 실무인력 양성을 위해 4개 시도 교육청과 12월 21일 서면으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환경부는 한국판 뉴딜 중 하나로 녹색산업 현장에서 기술혁신을 담당할 우수한 실무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환경분야 특성화고등학교 지원사업‘을 새로 추진하여 올해 6월 특성화고 5곳을 선정했다.
선정된 특성화고는 1곳당 연간 2억 원의 정부지원금을 지원받아 환경관련 정규 또는 비정규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녹색산업 현장에 필요한 전문성을 갖춘 실무인력을 양성한다.
환경부는 이들 특성화고에서 실무인력 양성 교육과정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특성화고 5곳이 속한 4개 시도 교육청과 이번 업무협약을 마련했다.
이번 업무협약에 참여한 각 기관들은 맞춤형 환경분야 교육과정의 개발‧운영의 지원, 산학연계 활성화 등 환경 실무인력의 양성과 확산을 위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
한편 환경부는 녹색산업 혁신 기반 구축과 좋은 일자리 창출을 주요 목표로 탄소중립을 앞당기는 순환경제·물관리·대기 등 녹색분야 기업 육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린뉴딜을 통해 녹색산업의 창업부터 사업화, 해외진출까지 맞춤형 기업 육성을 지원하고 있으며, 분야별로 2025년까지 녹색융합클러스터를 전국에 5곳을 건립하여 지역별 녹색산업 성장거점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청년들이 탄소중립 기술혁신 주역으로 활약할 수 있도록 한국판 뉴딜 계획에 따라 2025년까지 총 2만 명의 녹색기술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장기복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환경 일자리는 지금도 내실있게 성장 중인 일자리로, 탄소중립 시대를 맞이하며 인력 수요는 더욱 커질 것”이라며, “환경분야 특성화고 지원사업을 통해 미래세대가 탄소중립을 위한 녹색 기술혁신을 견인할 수 있도록 시도 교육청 등 관계기관과 함께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이넷뉴스=김진성 기자] jin@enetnews.co.kr
- 2022 예산으로 살펴본 탄소 중립···의지는 있지만 실천력은
- 수소, 주요 에너지원으로···유럽 주요국 ‘수소 밸리’ 구축에 앞장서
- 대한상의, ‘제7차 ESG경영 포럼’ 개최····ESG 이슈와 대응방안 논의
- “수소도시 완성도 높인다” 전주시 평화충전소 착공
- "유통업계, '친환경에 진심'···연말 맞아 따뜻한 ESG 경영 이어져"
- SK E&S, 지자체-중부발전 손잡고 세계 최대 ‘보령 청정수소 프로젝트’ 본격화
- 신한카드, 1000억원 ESG 채권 발행으로 탄소 배출 저감 앞장선다
- 수소충전소 민간참여 촉진···발굴 부지 미리 공개한다
- 신한금융 조용병 회장, COP26 한국홍보관서 탄소중립금융 홍보
- ㈜디케이앤디, ‘친환경 소재’ 중소기업기술혁신 개발사업 선정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