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협력회사 30여곳 대상 ‘RE 100’ 추진 배경 및 목표 소개
협력회사의 재생에너지 전환 위해 지속 지원
국가별/ 지역별 특징 고려한 ‘RE 100’ 노하우 적극 전수

[이넷뉴스] LG에너지솔루션이 협력회사와 함께 ‘RE 100’ 전환에 적극 나선다.
이와 관련,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2일과 3일 양일에 걸쳐 1차 협력회사 30여곳을 대상으로 ‘RE100 온라인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LG에너지솔루션은 재생에너지 관련 글로벌 동향, 향후 공급망 재생에너지 전환 목표, 조달방안 등을 공유하고 협력회사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또한 국가별/지역별 제도 및 여건을 감안해, 협력업체들이 최적의 재생에너지 전환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관련 노하우를 전수하는 등 지속적인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LG에너지솔루션이 협력회사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명회를 진행한 것은 배터리 제조과정에서 나오는 상당 부분의 온실가스는 배터리 소재인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등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배터리 전(全) 생애주기 분석에 따르면, 배터리 1kWh당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100이라고 가정할 경우 70이상이 원재료 공급망에서 발생한다. 원재료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상당 부분은 전력 소비로부터 발생하므로, 배터리 제품의 친환경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원재료 협력회사의 사용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다.
이에 LG에너지솔루션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배터리 소재인 양극재 및 음극재 등 주요 소재의 협력회사를 대상으로 ‘RE 100’ 전환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나머지 소재에 대해서도 오는 2030년까지는 순차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해나갈 계획이다.
한편,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은 오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0)인 ‘탄소 중립’을 이루겠다는 목표를 밝혔으며, 그 외 주요 선진국들도 앞다투어 국가 차원의 중장기 탄소중립 목표 및 정책들을 구체화하고 있다. 최근 GM, 폭스바겐, 애플 등 글로벌 기업들은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계획을 잇따라 발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7월 ‘‘We CHARGE toward a better future’라는 ESG 비전과 경영전략을 발표하며 ESG 경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RE 100’ 캠페인보다 20년을 앞당겨 2030년까지 전 세계 모든 사업장의 전력 사용을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으로 전환하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글로벌 친환경 배터리 선도기업으로서 재생에너지 전환, 공정 개선을 통한 에너지 효율 향상, 고효율 설비 도입 등을 적극 추진해 2050년에는 온실가스 배출을 완벽하게 제로(Zero)화할 계획이다.
[이넷뉴스=박민정 기자] parkminjung@enetnews.co.kr
- LG에너지솔루션, 첫 ESG 리포트 발간
- 배터리 소재 사업 진출 활발···선점 경쟁 본격화
- LG에너지솔루션, 친환경 제품 사용 장려 ‘에코엔솔’ 캠페인 진행
-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가시화···국내 연구진 성과 주목
- 전기차의 딜레마 폐배터리, 배터리 3사 재활용 산업 현황은?
- K배터리, 위상 높아졌지만 점유율 하락 '향후 전략은?'
- 중고차, 렌탈업계도 ESG경영·친환경차 바람 분다
- LG에너지솔루션, ESS용 배터리 리콜···비용 4천억 투입 예상
- LG에너지솔루션, 스텔란티스와 전기차 배터리 합작법인 MOU 체결
- LG에너지솔루션-연세대, 배터리 계약학과 설립 배터리 융합인재 직접 육성
- LG에너지솔루션, 글로벌 공급망까지 ESG 한다
-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전문 콘텐츠 허브 ‘배터리인사이드’ 오픈
- LG에너지솔루션 권영수 부회장 “구성원들이 ‘일할 맛 난다’고 외칠 수 있도록 힘쓸 것”
- ‘한국 배터리 산업 맏형’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대장주로 ‘우뚝’ 설까
- LG에너지솔루션, 美 ‘NEC 에너지솔루션’ 인수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