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7개 광역지자체,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 구성
환경부와 협력도

탄소중립을 위한 지방정부 협의체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 (사진=환경부)
탄소중립을 위한 지방정부 협의체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 (사진=환경부)

[이넷뉴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IPCC의 특별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까지 전 세계 탄소중립을 달성해야만 2100년까지 1.5 이내의 온도 상승 시나리오 실현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탄소중립에 대한 전 세계 국가의 동참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가운데, 국내 지자체들 역시 탄소중립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해 3월, 전체 17개 광역지자체와 64개 기초지자체는 자발적으로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연대)’를 구성해 같은 해 7월 발족했다. 연대는 지방정부의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발굴하고, 이행 분위기를 확산시키기 위한 지방정부 협의체다. 협력적 관계를 구축해 우수사례를 공유함으로써 자발적 탄소중립을 활성화하기 위해 탄생했다.

연대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실현 ▲기후 위기로부터 안전하고 행복한 삶 영위하기 위한 노력 ▲탄소중립 사업 발굴과 지원 최우선 추진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탄소중립 동시 실현 노력 ▲국민적 합의와 공감대 확산 위한 상호 소통·공동 협력 ▲탄소중립 위한 선도적 기후행동 실천 확산 등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외에도 기후변화 대응 조례제정, 온실가스 감축계획 수립, 지역 특화 온실가스 감축사업 발굴, 지역 단위 온실가스 감축 정보공유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연대는 환경부와의 협약을 통해 정부의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으며, 환경부는 연대의 온실가스 감축계획 수립 및 이행을 점검하고 지역특화 온실가스 감축사업 등의 지원에 나서고 있다.

실천연대 가입 지자체는 지난해 6월 81개소에서 올해 5월 기준, 104개 늘어 총 185개소가 가입했다.

서울시 성동·성북·강북 등 23개소, 부산시 중구·영도 등 12개소, 대구시 중구·서구 등 8개소, 인천시 연수·계양 등이 포함되어 있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서울시에서는 서울판 그린뉴딜을 기반으로 경제위기, 기후위기 동시 극복에 나서고 있으며, 이를 위해 노후 공공건물 그린 리모델링,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 전기 수소차로 전면 교체, 공공시설 태양광 발전 추진, 생활폐기물 직매립 제로화 등의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경기도에서는 데이터·저탄소·안전을 중심으로 경기도형 뉴딜을 추진하고 있다. 충남에서는 충남형 그린뉴딜 50개 사업에 2조 6,400억 원을 투자했으며, 경상남도에서는 공유경제를 기반으로 경남형 뉴딜을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 수원시에서는 탄소중립도시를 선도하는 환경수도를 표방하는 등 지자체별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넷뉴스=박민정 기자] parkminjung@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