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모태펀드 1차 정시 출자 심사 진행

자료=중기부 제공
자료=중기부 제공

이넷뉴스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 중기부)와 한국벤처투자(대표 유웅환)는 2023년 모태펀드 1차 정시 출자 심사를 통해 2,787억 원 규모 벤처펀드 운용사를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출자사업에는 총 79개 펀드가 신청했으며, 심의절차를 거쳐 총 10개 펀드가 선정됐다. 출자금액 기준 지원 경쟁률은 작년 수준(3.45:1)보다 2배가 넘는 7.48:1을 기록했다.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청년들의 창업을 뒷받침하는 청년창업펀드가 967억 원(3개) 규모로 선정됐다. 이 중 신생 또는 중소형 VC 루키리그로 선정된 규모는 367억 원(2개)이다.

여성의 창업과 사회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여성 창업기업에 중점 투자하는 여성기업펀드는 260억 원(1개) 규모로 선정됐다.

사업재편·사업전환 승인기업 및 폐업 사업주 등이 재창업한 기업 등에 투자하는 '재도약펀드는 320억 원(1개) 규모로 선정됐다.

소재·부품·장비 분야 우수기업에 중점 투자하는 소재부품장비펀드는 총 540억 원(3개) 규모로 선정됐다.

중소·창업·벤처기업의 M&A 및 중간회수시장 활성화를 지원하는 M&A펀드는 700억 원(2개) 규모로 선정됐다.

이영 장관은 “최근 3고 위기 지속, 해외 금융기관 파산 등 대내외 경제 여건이 여전히 어려운 가운데 모태펀드 출자가 정책 마중물이 되어 기관 투자자 및 민간의 펀드 출자를 이끄는게 중요한 시기다. 작년 11월 마련한 투자 촉진 인센티브가 이번에 선정된 모태자펀드에 전면 적용된다. 투자심리 위축으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벤처·스타트업에 신속한 투자자금이 공급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일 중기부와 금융위원회(위원장 김주현)는 국무총리 주재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경제위기 극복,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혁신 벤처‧스타트업 자금지원 및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초기 성장단계(Seed ~ 시리즈A 투자유치) 기업을 대상으로 융자 1.2조원, 펀드 0.2조원, R&D 4.7조원 등 총 6.1조원을 지원한다.

중기 성장단계(시리즈B~시리즈C 투자유치) 기업을 대상으로 융자 0.9조원, 펀드 1조원 등 총 1.9조원을 지원한다.

후기 성장단계(시리즈 C 이후 투자유치) 기업에 대해선 펀드 0.3조원, 융자 0.1조원 등 총 0.4조원을 지원하고 M&A 촉진을 추진한다.

이넷뉴스 = 김진성 기자 jin@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