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과 국내외 그린 수소·암모니아 생산 및 도입을 위한 MOU’ 체결

(왼쪽부터)이지영 SK E&S 수소글로벌그룹 부사장 겸 SK 플러그 하이버스 대표와 은상표 남동발전 신사업본부장(부사장)이 18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열린 ‘탄소중립과 국내외 그린 수소·암모니아 생산 및 도입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K E&S 제공)
(왼쪽부터)이지영 SK E&S 수소글로벌그룹 부사장 겸 SK 플러그 하이버스 대표와 은상표 남동발전 신사업본부장(부사장)이 18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열린 ‘탄소중립과 국내외 그린 수소·암모니아 생산 및 도입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K E&S 제공)

[이넷뉴스] SK E&S와 한국남동발전이 그린 수소·암모니아 사업에 힘을 모은다.

18일 SK E&S는 한국남동발전(남동발전), SK 플러그 하이버스(SK Plug Hyverse)와 ‘탄소중립과 국내외 그린 수소·암모니아 생산 및 도입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SK 플러그 하이버스는 SK E&S와 미국 수소기업 플러그파워(Plug Power, 플러그)가 아시아 지역 공동사업 추진을 위해 올해 1월 설립한 합작법인(JV)이다.

3사는 이번 MOU를 통해 국내외에서 생산된 그린 수소와 암모니아를 혼소 발전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협력한다. 남동발전은 생산된 수소·암모니아의 도입 및 혼소 활용, SK E&S는 SK 플러그 하이버스를 통해 그린 수소 생산을 위한 전해조(수전해 설비) 공급을 각각 담당하게 된다.

SK E&S는 SK 플러그 하이버스를 통해 그린 수소 생산에 필요한 고분자전해질막(PEM) 방식의 수전해 설비를 공급하고, 필요한 기술지원을 담당한다.

수전해 설비는 물(H2O)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장치다. 탄소 배출 없이 ‘그린 수소(H2)’를 생산하는 핵심 설비로 불린다. 그린 수소에 질소(N)을 합성해 국제 운송이 편리한 ‘그린 암모니아(NH3)’도 생산할 수 있다.

남동발전은 생산된 그린 수소 및 암모니아를 국내에서 운영 중인 석탄 및 가스 발전설비의 혼소 연료로 구매해 사용한다. 이렇게 하면 기존 발전설비를 적은 비용으로 개조해 수소와 암모니아를 기존 연료인 석탄 및 천연가스와 함께 연소시켜 온실가스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은상표 남동발전 부사장(신사업본부장)은 “국가 탄소중립 실현과 화력발전설비의 좌초자산화 이연을 위해 수소·암모니아 활용은 매우 중요한다. 국내 생산능력을 고려하면 수소·암모니아의 해외 공급망 확보가 필수”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MOU를 계기로 수소경제 선도기업인 SK E&S와 함께 수소·암모니아를 해외에서 안정적으로 생산, 국내로 도입해 국가 탄소중립 실현과 수소경제를 선도하는 에너지회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계획을 전했다.

이지영 SK E&S 수소글로벌그룹 부사장 겸 SK 플러그 하이버스 대표는 “국내 청정 수소 및 수소 기술 생태계 조성을 위해 다각적인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밝힌 뒤 “이번 MOU 체결을 계기로 남동발전과 그린 수소·암모니아 생산 및 도입과 관련해 다양한 국내외 협력 기회를 공동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에 따르면 선진국을 중심으로 국가별 강점에 기반해 미래 수소시장 선점을 위한 정책을 최근 경쟁적으로 수립·발표하고 있다.

IEA의 지난해 8월 기준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을 포함 총 14개 국이 정책수립을 완료했으며 20여 개국은 수립 중에 있다.

재생에너지원이 풍부한 국가는 그린수소를 대량 생산해 수소 수출국 지위 확보를 위한 정책지원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등 다양한 기업에서 2030년까지 43조 원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기존 사업영역에서 수소분야로 외연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넷뉴스=박민정 기자] parkminjung@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