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도 제로 목표
그린수소 생산능력, 당초 계획보다 두 배 올려
유럽 그린딜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돼

[이넷뉴스] 유럽연합(EU)이 에너지 전환을 가속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목표치를 상향 조정했다. 천연가스 가격급등과 더불어 탈 러시아 에너지 움직임으로 '유럽 그린딜(Green deal)' 실현이 더욱 앞당겨질 전망이다.

EU가 탈 러시아 에너지를 위해 그린딜을 가속화한다고 밝혔다. (사진=언플래시)
EU가 탈 러시아 에너지를 위해 그린딜을 가속화한다고 밝혔다. (사진=언플래시)

◇ 5번째 러시아 제재안 합의···석탄 수입 금지

지난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 AFP통신 등은 EU가 러시아에 대한 5번째 제재안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EU가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제재에 합의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제재안은 러시아산 석탄 수입 금지 및 무기 수출 금지 등이 담겼다. EU의 러시아산 석탄 수입은 연간 40억 유로(약 5조 3,000억 원) 규모다. EU 회원국들은 독자적으로 러시아산 석탄 수입 금지방안을 강구 중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프랑스 티머만스 수석 부집행위원장은 “에너지 전환을 가속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목표치를 더 높게 수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EU 집행위원회는 다음 달 러시아의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새로운 구상을 내놓을 계획이다. 

러시아산 에너지와 절연하려는 분위기는 갈수록 강경해지고 있다. 7일 벨기에 브뤼셀발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EU 11개 회원국은 러시아 화석연료로부터 독립을 위해 EU의 기후목표인 '핏포55(Fit for 55)'의 신속한 추진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핏포55’ 패키지’는 EU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지난해 7월 내놓은 12개 항목이 담긴 입법 패키지다. ‘유럽 그린딜’을 통해 상향 조정된 EU의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인 1990년 대비 최소 55% 감축에 맞춰 기존의 정책 및 제도 수정이 주 내용이다.

◇ ‘REPowerEU 입법문서’ 발표···2030년 러시아 에너지 ‘제로’ 달성

EU는 이전 기후변화와 에너지 전환의 큰 틀인 그린 딜을 가속화해 러시아산 화석 연료 의존도를 단계적으로 낮추고, 2030년 이전에 완전히 벗어난다는 계획이다.

지난 6일 EU 집행위원회는 최근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 감축을 통한 에너지 안보 향상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공급 방안 마련을 목표로 하는 행동계획인 ‘리파워EU(REPowerEU) 입법문서’를 발표했다.

EU의 행동계획은 러시아 천연가스 의존도를 올해 말까지 3분의 2 수준으로 감축하고 늦어도 2030년에는 ‘제로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석유, 석탄 등 기타 화석연료에서도 러시아산 비중을 큰 폭으로 감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EU는 현재 최종에너지 소비의 약 60%를 천연가스, 석유, 석탄 등의 화석에너지에 의존하고 있는데 상당 부문이 러시아산이다.

우르술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EU는 유럽의 에너지 안보를 위협하는 해외 공급원에 의존할 수 없다”며 “에너지 가격 상승의 영향을 완화하고 에너지 전환 가속화를 위해 지금 행동해야 한다”고 입법문서 발표 취지를 밝혔다.

2030년 이전까지 러시아산 화석연료 수입을 완전히 중단하기 위한 주요 방안으로는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가스 수입선 다변화, 바이오가스 및 그린수소 개발 촉진 등이 제시됐다.

유럽은 천연가스, 석탄 등 화석연료 대체 에너지원으로 그린수소에 주목하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유럽은 천연가스, 석탄 등 화석연료 대체 에너지원으로 그린수소에 주목하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 천연가스 등 대체 에너지원으로 그린수소 주목

EU는 지난해 러시아로부터 수입한 천연가스 물량을 2030년까지 수소로 대체할 계획이다. 천연가스 가격 급등과 탈 러시아산 에너지 움직임에 따라 그린수소 생산 능력을 당초 계획이었던 40기가와트(GW)를 2030년까지 80GW로 두 배 확대했다. 생산설비 및 저장시설을 확보해 2030년까지 연간 500만 톤의 생산 역량을 확충한다.

영국은 2030년까지 수전해 설비를 이용해 최소 5GW의 그린수소를 생산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영국정부가 이 같이 구체적인 목표를 세운 것은 처음이다. 

독일 정부는 지난 6일(현지시간) 내각회의에서 2030년까지 독일 에너지 믹스에서 재생에너지 비중을 현행 42%에서 80%로 높이는 재생에너지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2035년까지 100% 재생에너지 조달이 목표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이날 “러시아가 공급하는 석유와 가스에 예속되지 않을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며 “전력망을 확장하고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생산 능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천연가스 가격이 하락한다고 해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정치권이 수소 산업을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바라보고 있기 때문에 수소 산업에 대한 투자 매력이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UC샌디에이고)의 데이비드 빅터 혁신·공공정책 교수는 "해안 풍력발전과 수소에너지 확대 방안 등 EU가 추진 중인 각종 프로젝트가 관련 기술의 비용을 낮춰 세계적인 이익 증대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넷뉴스=김그내 기자] snowcat74@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