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월 전 안전성 평가는 “개선권고 없음”
지난 6월 준공 「김해 제조식 수소충전소」, 한달 뒤 부지 지반침하로 수소탱크 트레일러 땅으로 꺼지는 사고 발생
지난해 10월 공사 자체 실시한 안전성 평가에서는 “개선권고 없음”
구자근 의원, “사업성 조작 의혹에 안전불감증까지.. 무리한 사업추진이 원흉”

[이넷뉴스] 구자근 의원(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위원회, 경북 구미시 갑)이 20일 국회에서 열린 2021년 산업통상자원부 종합국감에서 “한국가스공사가 운영중인 김해수소충전소에서 지반침하로 수소탱크 트레일러가 빠지는 사고가 발생했다”며, “문재인 정부 역점사업 중 하나인 수소경제 관련 사업의 성과를 위해 무리하게 추진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한국가스공사는 지난 6월, 정부의 수소차 활성화 정책에 기여하기 위해 경남 김해(종전 한국가스공사 부산경남지역본부 부지)에 제조식 수소충전소를 구축해 7월 1일부터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그런데 상업운전을 시작하고 한달도 되지 않아 부지내 지반침하 사고가 발생하면서 충전소 운영동 앞에 수소가스 튜브트레일러의 지지대가 땅 밑으로 꺼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견인차를 동원해 시급하게 원상복구를 했으나, 인화점이 낮아 쉽게 불이 붙거나 폭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수소가스가 누출 위험에 있었다는 점에서 공사의 충전소 내 안전관리에 대한 문제가 지적받게 되었다.
그런데 구자근 의원실이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반침하 사고 약 9개월 전, 충전소 구축사업당시 실시된 안전성평가에서 지반침하 사고 가능성은 “50~100년 사이에 발생할 정도”로 채점되는 등 “개선권고 없음” 판정을 받은 것이 드러났다. 당시 한국가스공사 직원 15인과 충전소 구축 설계 업체 등 외부 4인의 평가단이 제출한 안전성평가가 절차적으로만 진행되었을 뿐 실제 지반침하 문제나 기타 감안해야 할 안전 사고에 대해서는 제대로 고려하지 않았다는 의혹이 제기된다.
구자근 의원은 “불과 9개월 전 실시한 안전성 평가에서 도대체 무엇을 확인했다는 것인지 알수가 없다”며, “LNG보다 7배는 더 폭발력이 높다는 수소가스에 대해 이런 식으로 운영한다면, 공사는 수소경제 선도할 능력이 없는 것”이라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또한 “지난 15일 가스공사 국정감사에서 김해충전소 등 수소사업 추진에 대해 사업성 평가가 조작되었다는 점이 지적되었는데, 안전성평가까지 허투루 진행된 것을 보면 한국가스공사가 시간에 쫓겨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한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며, “문재인 정부의 역점사업 중 하나인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민생 안전을 저버린 것은 아닌지 총체적인 조사 및 감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넷뉴스=김진성 기자] jin@enetnews.co.kr
- ESG 경영 실천하며 ‘고고챌린지’ 참여하는 기업·기관
- 두산, 수소 생산·활용 비즈니스 역량 한자리에
- [단독] 러시아, 블루수소 선점 로드맵 '시동'
- 정유업계 그린사업 전환 가속화 '핵심은 수소'
- 가스公, 공기업 역대 최저 가산금리로 8억 달러 조달 성공
- 가스公, GS EPS와 발전용 개별요금제 천연가스 매매계약 체결
- 가스공사, LNG 화물차 보급으로 친환경 물류 실현 앞장
- 채희봉 가스公 사장, 러시아 극동북극개발부 장관과 면담
- 대전에도 친환경 수소버스 달린다
- 가스公, 2022년부터 모잠비크에서 LNG 생산·수출 돌입
- 가스공사, 세계 최초 LNG 냉열 기반 데이터센터 구축 잰걸음
- 가스公, 민수용 원료비 정산단가 분산 조정
- 가스公, 주배관 건설 입찰 담합 손배소 승소
- 한국가스공사, '안전 최우선 경영' CEO 특별 안전점검 시행
- 가스공사, 창원시와 거점형 수소생산기지 구축·운영 협약
- [2022 국정감사] 탄소중립, 국감 최대 이슈 될까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