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부터 10년간 7억 유로 투자···수소차 180만대, 수소 충전소 1000개소 보급 목표
유럽 최대 규모 그린 수소 생산 기지 구축···공급 부족 대비 호주·사우디와 MOU 체결
지난 5월 ‘280억 유로 규모’ 초대형 수소 프로젝트 공개···한국 기업에도 기회될까
[이넷뉴스] 독일은 파리 협정 8년 전인 2007년부터 수소 경제를 준비해왔다. 수소 및 연료 전지 국가 혁신 프로그램(NIP)은 독일 연방 정부가 2007년부터 10년간 총 7억 유로(약 9,414억 원)를 투입한 대형 프로젝트로, 2026년까지 14억 유로(약 1조 8,000억 원)을 추가 투자해 수소 전기차 180만대, 수소 충전소 1,000개소를 보급할 계획이다. ‘수소 강국’ 독일의 저력은 이런 대규모 투자에서 나온다.
◇ 독일 수소 사회의 청사진, NIP
‘H2 모빌리티’는 독일 정부와 다임러, 린데, 셸 등 현지 주요 에너지·자동차 기업이 참여하는 민관 이니셔티브다. 현재 유럽에서 가장 야심 찬 수소 에너지 네트워크로 평가된다. 이니셔티브의 일차 목표는 독일 7개 대도시(함부르크, 베를린, 라인-루르, 프랑크푸르트, 뉘른베르크, 뮌헨) 간 도로 및 고속도로에 총 100개의 수소 충전소를 운영하는 것이다. 최종 목표는 2030년 수소차 180만대, 수소 충전소 1000개소를 보급하는 것이다.
H2 모빌리티는 NIP의 하나로 추진됐다. 덕분에 독일연방디지털인프라부(BMVI), 유럽 위원회(EC) 지원을 받아 세계 최대 수소 충전소 업체로 성장했다. ‘독일 연방 정부’와 ‘유럽 연합(EU)’이라는 든든한 배경이 있던 셈이다. 두 기관이 H2 모빌리티에 수소 인프라 조성을 목적으로 투자한 금액은 3억 5,000만 유로(약 4,682억 원). 전체 구축 비용의 2/3 수준이다.
NIP는 연방교통부, 경제에너지부, 교육부, 환경부 등이 참여하는 범부처 사업이자, 독일이 그리는 수소 사회의 청사진이다. 독일 정부는 지난해 NIP의 2차 프로그램인 하이랜드(HYLAND)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독일 25개 지역에 수소 융복합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독일 정부는 이를 통해 지역별 차별화한 컨설팅과 재정을 지원할 방침이다.

◇ 유럽 최대 규모 ‘그린 수소’ 생산 기지 구축
수소는 생산, 저장, 운송이 까다로운 물질이다. 대부분 천연가스에서 추출하는 개질 방식으로 생산된다. 문제는 여기서 탄소가 일부 배출된다는 것이다. 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그린 수소’가 아닌 블루 수소(이산화탄소를 포집, 저장해 탄소 배출을 줄인 수소)인 것. 그린 수소는 생산, 운송 인프라 구축에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블루 수소만으로는 탄소 중립에 대응이 어렵다.
2020년 독일 전체 수소의 약 5%는 수전해 방식(그린 수소)으로 만들어졌다. 같은 해 독일 정부는 약 670만 유로(약 89억 원)의 그린 수소를 수입했다. 유럽에서 손꼽히는 규모다. 물론 수입에 의존할 생각은 없다. 자구책을 마련했다. 2030년까지 90억 유로(약 12조 491억 원)를 투자해 약 5기가와트(GW)의 전력을 생산할 계획이다. 그린 수소는 신재생 에너지로 발전한 전기로 만든다.
독일은 2020년 6월 북동부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지역에 유럽 최대 규모의 그린 수소 생산 기지를 구축하고, 시범 가동에 착수했다. 2023년 상업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공급 부족을 대비해 호주, 사우디아라비아 등과 양해 각서(MOU)를 체결하고, 그린 수소 수입을 추진한다. 이란, 터키 등 중앙아시아 및 북아프리카 일부 국가와 수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 280억 유로 규모 ‘초대형’ 프로젝트 발표···”독일, 수소 국가 만들 것”
독일의 수소 투자 러시는 현재 진행형이다. 지난 5월 경제에너지부, 교통부는 역내 중요 공동 이해 관계 프로젝트(IPCEI)의 하나로 총 62개, 280억 유로(약 37조 4,984억 원) 규모의 초대형 수소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독일 연방 부처·주 정부가 80억 유로, 민간이 200억 유로를 부담하는 이번 사업은 유럽 국가들이 힘을 합치는 첫 수소 프로젝트다. 안드레아스 쇼이어 교통부 장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독일은 수소 국가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62개 프로젝트는 ▲수소 생산 ▲수소 인프라 ▲수소 산업 ▲수소 모빌리티 4가지 분야로 나뉜다. 가장 눈길을 끄는 분야는 ‘수소 인프라’다. 독일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형태의 1,700㎞ 길이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는 것으로, 총 14개 기업이 참여를 확정했다. 독일 정부는 이를 통해 독일이 동-서유럽 수소 수출입의 관문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독일의 ‘수소 올인’ 행보는 독일 진출을 목표로 하는 한국 기업에도 기회가 될 전망이다. 오정한 독일 뮌헨 무역관은 “독일은 2019년 12월 IPCEI 배터리 1차 프로젝트, 2021년 1월 2차 프로젝트를 발표한 사례가 있다. 따라서 수소 프로젝트 역시 2년 안에 추가 선정, 발표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번 수소 프로젝트의 구체적 내용을 분석하면 다음 프로젝트 때 한국 기업 선정될 가능성도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넷뉴스=양원모 기자] ingodzone@enetnews.co.kr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