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속‧산하기관 건물, 시설물에 신재생에너지 혁신제품 도입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건물태양광협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업무협약 체결

[이넷뉴스] 19일 환경부는 한국수자원공사 한강유역본부에서 공공건물 탄소중립 추진상황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는 국립환경과학원,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 국립생태원, 국립공원공단 기관장이 참석했다.
우선 환경부는 소속‧산하기관 건물, 시설물에 신재생에너지 혁신제품을 적극 도입하기로 했다. 건물에는 건물일체형 태양광을, 유휴부지에는 고정식 태양광을 확대해나간다는 계획이다. 건물일체형 태양광이란 태양광 모듈을 건축물에 설치해 건축 부자재의 역할 및 기능을 함과 동시에 전력생산도 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설비를 말한다. 루프형, 파사드형, 차양(Shade)형으로 나뉜다.
지자체 공공건축물의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도 적극 검토되고 있다.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에너지자립률을 높이는 것. 제로에너지건축물이란 건물에 필요한 에너지 부하를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화하는 건축물을 말한다.

이에 앞서 환경부는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건물태양광협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건물의 에너지자립률 제고가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함께하면서 민간에까지 탄소중립을 확산하기 위함이다.
업무협약을 통해 한국수자원공사는 건축물 에너지자립 주요 수단의 실증을 위한 테스트베드를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환경 안전성이 검증된 친환경 기술의 개발을 지원하고 보유 건축물에 적극 도입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건축물 에너지자립 주요 수단에 대한 효율성을 검증하고, 연구개발을 통한 성과 확산, 기술 사업화, 우수기술 보급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한국건물태양광협회는 건축물 에너지자립의 주요 수단 보급 활성화를 위한 테스트베드 활용, 홍보, 사업모델 개발 등에 힘쓰기로 했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환경부가 먼저 건물일체형 태양광과 같은 혁신기술에 실증시설을 제공함으로써 실증 자료를 검증해 새로운 기술 개발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넷뉴스=김진성 기자] jin@enetnews.co.kr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