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통신기술 활용해 온실가스 감축 성공…환경부 인증 획득
기존 대비 전력 사용량 53% 감소…21년부터 온실가스 약 1만톤 감축 기대
전력 에너지 절감과 동시에 환경 보호에 기여하며 ESG 경영 선도 사례로 주목

[이넷뉴스] SK텔레콤(대표이사 박정호)은 3G와 LTE 네트워크 장비 통합 및 업그레이드(싱글랜 기술)를 통한 전력 사용량 절감에 성공, 환경부로부터 국내 통신분야 최초로 온실가스 감축을 인증받았다고 9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형광등 대신 LED를 사용하거나, 태양열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하는 등 에너지원 변경을 통한 전력량 절감 방식이 보편적이었지만, 통신기술을 이용한 온실가스 감축 방법이 환경부 인증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KT가 개발한 온실가스 감축 방법은 3G와 LTE 네트워크 장비를 통합 및 업그레이드하는 방식으로, 기존 대비 전력 사용량을 약 53%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SKT는 이 기술을 2019년부터 적용하기 시작해 2020년에는 서울시를 포함 전국 78개시의 자사 기지국과 중계기에 적용을 모두 완료했다. 이를 통해 작년 말 환경부로부터 온실가스 저감에 따른 탄소배출권 1,117톤을 인정받았으며, 올해부터는 매년 약 1만 톤의 탄소배출권을 인정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탄소배출권 1만톤은 서울 시내 약 7,600여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 (※2019년 서울 전력사용량 통계 기준)에 해당한다.
2020년 환경부에 신규 등록된 온실가스 감축 방법은 총 9건이며, 2019년에는 1건도 등록되지 않을 정도로 신규 에너지 절감 방식의 개발 및 인증은 쉽지 않은 과정이다. 통신 기업 중에는 기존 IDC 서버의 전기 사용량 감축 또는 법인 차량을 전기차로 교체하는 방법 등의 에너지 절감 사례가 있었으나, 통신기술과 장비 분야에서는 이번이 처음이다.
SKT 이준호 ESG사업담당은 “SK텔레콤은 ICT기술을 기반으로 에너지 절감과 환경 보호에 더욱 기여하고, 앞으로도 ESG 경영을 선도하겠다”라고 밝혔다.
[이넷뉴스=박민정 기자] parkminjung@enetnews.co.kr
- SKT 분당·성수 ICT 인프라센터에 녹색 전기 흐른다
- SKT, SK렌터카·소프트베리와 전기차 온실가스 감축 효과 실증 나선다
- SK텔레콤, 5G 이동통신망 모세혈관 ‘프론트홀’ 고도화 본격 추진
- 해외여행 제로 시대? NO!···이젠 랜선 여행 즐기자!
- SKT, ‘사회적 가치 확산’ 위해 인플루언서들과 뭉쳤다
- SKT, 혁신 스타트업과 ‘사회적가치 실현’ 힘 모은다
- 과기부, 노후된 공공와이파이 1.8만개 대개체 및 수신가능 지역 확대 추진
- SKT, 개인정보보호 인식주간 캠페인 동참
-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함께할 언택트 서비스 개발 파트너 찾습니다”
- SK ICT패밀리, 코로나19 극복 위한 헌혈 릴레이 나선다
- 남양유업, ESG 추진 위원회 출범으로 ‘지속 가능 경영’ 강화
- 마크로젠, 지속가능경영 강화 위해 ‘ESG 위원회’ 신설
- 한화, ESG경영 강화 나선다
- "전력정보만 읽어도 전기요금 절감 가능해진다"···SKT, '그린요금제’ 첫 선
- SKT AI 기술로 서울 도심 일회용 플라스틱컵 줄인다
- SKT, 사옥에서도 생활 속 ESG 경영 실천 '눈길
- SKT, 저전력 반도체 앞세워 ‘탄소 감축’ 실천한다
- SKT, CES 2022서 넷제로 달성 위한 '그린 ICT 기술' 선보인다
- SKT, 글로벌 ESG 평가기관 CDP로부터 최고 등급 ‘리더십 A’ 획득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