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석탄 동맹 가입 추진
인천형 그린뉴딜 발표
탈석탄 금고 선언식 개최

[이넷뉴스] 석탄화력발전소가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등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지 오래다. 이에 전 세계 국가들이 연이어 탈석탄을 선언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인천광역시가 본격적인 탈석탄 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 탈석탄 본격 추진
인천시는 지난 11월 2050 탄소중과 글로벌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탈석탄 정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혀 화제를 모았다. 이를 위해 인천시는 탈석탄 동맹(Powering Past Coal Alliance·PPCA) 가입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탈석탄 동맥은 석탄사용 에너지 발전에서 벗어나기 위한 움직임으로, 전 세계 34개국과 33개 지방정부가 참여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유럽연합(EU) 회원국은 2030년까지 중단하고, 나머지 국가는 2050년까지 석탄사용을 중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천시는 가입 이후 석탄화력발전 신규 설치를 막고, 기존 시설 폐지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기존 시설은 액화천연가스(LNG)로 전환한다.

◇ 탈석탄 위해 관련 조례 개정
인천시는 14일에는 탈석탄 선도도시로서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탈석탄 금고 선언식’을 개최했다. 이는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선언’에 발맞추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되고 있다.
탈석탄 금고는 자치단체에서 재정을 운영하는 금고를 선정할 때, 평가 지표에 탈석탄 및 재생에너지 투자 항목을 포함하는 정책이다. 이를 위해 인천시는 관련 조례를 개정한다는 방침이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기존 석탄 발전을 뒷받침해온 금융을 줄이고, 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과 소비는 기후와 생태계를 파괴하고, 그 부메랑은 우리 삶을 위협하는 것으로 돌아오고 있다. 인류의 마지막 세대가 될 수 있다는 절박함으로 기후위기에 응답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한편, 인천시는 지난 4월 22일 기후위기 비상상황을 선포한 바 있다. 7월 7일에는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 탄소중립을 선언했으며, 최근에는 인천형 그린뉴딜을 발표한 바 있다. 인천시는 향후에도 온실가스 감축과 친환경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적극 시행할 방침이다.
[이넷뉴스=김진성 기자] jin@enetnews.co.kr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