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장비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33,102,695개 분석

이넷뉴스 = 디스플레이장비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7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미래나노텍 2위 소룩스 3위 LX세미콘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디스플레이장비 상장기업 68개 브랜드에 대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브랜드 평판조사를 실시했다. 2023년 6월 4일부터 2023년 7월 4일까지의 디스플레이장비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33,102,695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판을 분석했다. 지난 6월 디스플레이장비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31,142,866개와 비교하면 6.29% 증가했다. ​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이다.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끼리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커뮤니티 점유율을 측정하여 분석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디스플레이장비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분석은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 사회공헌지수로 구분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산출했다.​

디스플레이장비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7월 빅데이터 분석 30위 순위는 미래나노텍, 소룩스, LX세미콘, 서울반도체, 티로보틱스, HB테크놀러지, 선익시스템, 와이투솔루션, 이녹스첨단소재, 미래컴퍼니, 덕산네오룩스, AP시스템, 클라우드에어, 베셀, 톱텍, 덕산테코피아, 아바코, 상보, 아나패스, DMS, 코이즈, 야스, 아이엘사이언스, 토비스, 서울바이오시스, 제이스텍, 우리바이오, 힘스, 신도기연, 신화인터텍 순이었다. ​

디스플레이장비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미래나노텍 브랜드는 참여지수 628,425 미디어지수 522,811 소통지수 631,005 커뮤니티지수 735,583 시장지수 157,805 사회공헌지수 106,70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782,332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1,835,514와 비교해보면 51.58% 상승했다.​​

2위, 소룩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569,870 미디어지수 429,904 소통지수 385,559 커뮤니티지수 310,617 시장지수 52,138 사회공헌지수 168,72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916,808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1,212,143과 비교해보면 58.13% 상승했다.​​

3위, LX세미콘 브랜드는 참여지수 318,255 미디어지수 243,348 소통지수 468,018 커뮤니티지수 253,011 시장지수 457,535 사회공헌지수 101,68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841,856으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1,642,916과 비교해보면 12.11% 상승했다.​​

4위, 서울반도체 브랜드는 참여지수 353,780 미디어지수 397,242 소통지수 474,517 커뮤니티지수 327,945 시장지수 170,480 사회공헌지수 75,69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799,660으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1,783,879와 비교해보면 0.88% 상승했다.​​

5위, 티로보틱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365,295 미디어지수 282,498 소통지수 263,601 커뮤니티지수 194,597 시장지수 72,070 사회공헌지수 100,32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278,381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1,669,020과 비교해보면 23.41%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디스플레이장비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7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미래나노텍 ( 대표 김철영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디스플레이장비 상장기업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브랜드소비 7.52% 하락, 브랜드이슈 6.26% 하락, 브랜드소통 24.10% 상승, 브랜드확산 22.90% 상승, 브랜드시장 2.19% 하락, 브랜드공헌 15.72% 하락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편, 지난달 29일 LX세미콘은  두 번째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지난해 LX세미콘이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각 영역 별로 추진했던 주요 성과와 활동이 담겼다.

이번 보고서의 환경 영역에서는 환경경영 추진체계, 기후변화 대응, 자원사용 및 오염저감 등을 위한 노력을 강조했다.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배출 예상량 대비 20% 저감하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로드맵을 공개했다.

LX세미콘은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태양광 발전설비 도입, 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구매, 재생에너지 전력구매계약(PPA)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 사용을 추진한다. 에너지 설비 고효율화, 친환경 차량 전환, 저탄소 설비 전환 등 내부 감축도 병행한다.

LX세미콘 대표이사 손보익 사장은 보고서 발표와 관련 "ESG 경영은 성장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 ESG 경영 체계를 고도화하고, 정도 경영을 통해 투명하고 윤리적인 기업활동을 실천하겠다"고 전했다.

이넷뉴스 = 구하영 기자 data@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