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상장기업의 브랜드 빅데이터 66,455,383개 분석

[이넷뉴스] 화학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2년 12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포스코케미칼 2위 한화솔루션 3위 LG화학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 화학 상장기업 97개 브랜드에 대한 빅데이터 평판분석을 했다. 2022년 11월 7일부터 2022년 12월 7일까지의 96개 화학 상장기업의 브랜드 빅데이터 66,455,383개를 분석했다. 지난 11월 화학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52,927,107개와 비교하면 25.56%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화학 상장기업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시장평가, 사회가치활동으로 측정된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2022년 12월 화학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포스코케미칼, 한화솔루션, LG화학, 금양, 에코프로, 롯데케미칼, 이수화학, SK케미칼, SKC, 그린케미칼, OCI, 금호석유, 코스모화학, 한국석유, 나노신소재, 코스모신소재, 롯데정밀화학, 효성첨단소재, 후성, 코오롱인더스트리, 효성화학, 대한유화, 에코프로에이치엔, 파미셀, 레몬, 태광산업, 애경케미칼, 조비, 한솔케미칼, 송원산업 순으로 분석됐다.

화학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포스코케미칼 ( 대표 민경준 ) 브랜드는 참여지수 727,431 미디어지수 2,039,501 소통지수 1,526,667 커뮤니티지수 1,015,180 시장지수 955,12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263,907로 분석됐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4,711,614와 비교하면 32.95% 상승했다.
2위, 한화솔루션 ( 대표 이구영, 류두형, 김동관, 김은수, 남이현 ) 브랜드는 참여지수 496,586 미디어지수 1,752,124 소통지수1,220,955 커뮤니티지수 1,852,151 시장지수 552,83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874,650으로 분석됐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2,760,078과 비교하면 112.84% 상승했다.
3위, LG화학 ( 대표 신학철 ) 브랜드는 참여지수 202,853 미디어지수 972,964 소통지수 766,532 커뮤니티지수 989,415 시장지수 2,866,76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798,525로 분석됐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5,655,751과 비교하면 2.52% 상승했다.
4위, 금양 ( 대표 류광지 ) 브랜드는 참여지수 906,225 미디어지수 2,149,166 소통지수 600,637 커뮤니티지수 893,922 시장지수 103,75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4,653,704로 분석됐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2,760,078과 비교하면 68.61% 상승했다.
5위, 에코프로 ( 대표 김병훈 ) 브랜드는 참여지수 368,424 미디어지수 1,376,910 소통지수 443,960 커뮤니티지수 1,380,109 시장지수 192,70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762,102로 분석됐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4,859,260과 비교하면 22.58%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22년 12월 화학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분석결과, 포스코케미칼 ( 대표 민경준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화학 상장기업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 보니 브랜드 소비 17.00% 상승, 브랜드 이슈 23.57% 상승, 브랜드 소통 22.80% 상승, 브랜드확산 40.16% 상승, 브랜드 시장 6.59%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편, 지난 4일 포스코케미칼은 얼티엄셀즈(Ultium Cells LLC)와 약 9,393억 원의 음극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2023년부터 2028년까지 6년간 포항공장에서 생산한 인조흑연 음극재를 GM과 LG에너지솔루션의 미국 배터리 합작사 얼티엄셀즈에 공급한다.
인조흑연 음극재는 천연흑연 음극재에 비해 배터리 충전속도를 높이고 수명을 늘리는 특성이 있어 전기차 배터리에 주로 사용되는 소재다.
원료조달이 어렵고 제조비용이 높아 주로 중국에서 생산해 왔으나, 포스코케미칼이 2021년 12월 연산 8천 톤의 포항공장을 준공해 국산화를 이뤘다. 천연흑연 음극재도 2011년부터 포스코케미칼이 생산하고 있다.
[이넷뉴스 구하영 기자] data@enetnews.co.kr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