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원자력 청정수소 포럼’ 개최
'원자력 청정수소 기술개발 및 상용화’ 위한 MOU 체결
원자력 활용한 청정수소 생산 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힘 모아

[이넷뉴스] 원자력을 활용한 청정수소 생산 기반 마련을 위해 국회, 정부, 산∙학∙연이 한자리에 모였다.
한국원자력산업협회(회장 정재훈)가 주관하고,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정재훈, 한수원), 한국전력기술, 두산에너빌리티가 후원한 ‘원자력 청정수소 비즈니스 포럼’이 27일 서울 노보텔 앰베서더호텔에서 개최됐다. 행사에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양정숙 의원, 원자력 및 수소 산업계, 학계, 연구계 등 100여 명이 자리했다.
행사에서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원자력 청정수소의 역할과 비전 ▲국내·외 청정수소 생산 및 기술개발 동향 ▲한수원의 청정수소 기술개발 추진계획 ▲청정수소 경제성 및 상용화를 위한 과제 ▲법·제도적 해결방안 등이 논의됐다.
한수원, 한국전력기술, 두산에너빌리티, 포스코홀딩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한국원자력학회는 ‘대용량 청정수소 생산/저장 플랜트 설계 및 인허가 대비 기반연구’ 과제 착수에 따라 ‘원자력 청정수소 기술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향후, 이들 기관은 ▲원자력을 활용한 청정수소 생산 기술 개발 및 상용화 ▲해외원전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한 원자력 청정수소 사업모델 개발 ▲지속가능한 원자력∙수소 산업 생태계 구축 등에 힘을 모은다.
한수원은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이 공존하는 청정수소 기술개발과 상용화를 달성해 탄소중립 및 수소경제 실현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우리가 보유한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산∙학∙연∙관이 합심해 원자력을 활용한 청정수소를 개발하면 증가하는 수소 수요에 대비한 에너지 안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수출원전+청정수소’플랜트 사업모델로 해외원전 수출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상품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한편, 청정수소는 원자력 또는 재생에너지로 생산 가능하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청정수소가 생산돼 왔지만 재생에너지는 출력변동성으로 인해 이용률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원자력을 이용한 청정수소 생산이 활성화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넷뉴스=박민정 기자] parkminjung@enetnews.co.kr
- 윤석열 정부 '원전 최강국' 공약···원전 활용 ‘핑크수소’로 실현되나
- 한국·중국·일본 '수소경제' 경쟁 "불 붙었다"···승자는?
- 수소경제 인프라 지원 확대···산업계 "청정수소 범위 규정해야"
- 진전없는 수소법 개정안에 속타는 기업들···수소경제 향방은?
- 롯데케미칼-삼성엔지니어링-포스코, 말레이시아 청정수소 공동 개발
- 유럽부터 중동·아프리카까지···수소경제 경쟁 가속화, 주도권은 누가?
- 현대엔지니어링, 무(無)탄소 수소 생산 시스템 투자착수
- SK E&S, ‘CES’ 첫 참가···수소·재생에너지로 탄소감축 솔루션 제시
- 2050년 청정수소 시대, 가능할까?
- 정재훈 한수원 사장 “특별승진, 직원 권리이자 의무∙∙투명경영 선보일 것”
- 한수원 정재훈 사장 '밀착행보' 핀란드까지∙∙∙유럽원전 진출 기반 다져
- 한수원, 파키스탄 LSG 수력사업 주민공청회 개최···주민의견 반영
- 한수원, '원전 파일롯 구동 압력방출밸브' 국산화 첫걸음 내디뎠다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