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대 기반 공공기관과 기업이 함께 완성
명확하고 확실한 목표 제시돼야

ESG경영 확대에 따라 공공기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디자인=이넷뉴스)
ESG경영 확대에 따라 공공기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디자인=이넷뉴스)

[이넷뉴스] 환경보호·사회공헌·윤리경영을 포괄하는 ESG 경영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과제다. 법과 윤리를 철저히 준수하면서 친환경적인 요소를 기업 운영에 반영하는 것이 현재 기업이 가져야 할 사회적 책임이기 때문이다. 

이는 공공기관에서도 마찬가지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와 2020년 팬데믹(감염병 세계적 대유행)을 계기로 각국의 공공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래 국가 경제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ESG 역시 공공기관의 역할이 중요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미래 국가 경제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ESG 경영은 공공기관의 역할이 중요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미래 국가 경제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ESG 경영은 공공기관의 역할이 중요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 ESG 경영 생태계 확립···공공기관의 역할 강화론 증대

작년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Moody's)가 각국의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세부 항목에 대한 평가를 기초로 실시한 ESG 신용영향점수(CIS)에서 우리나라는 1등급(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 세부 분야별 평가(IPS)에서는 환경 2등급(중립적), 사회 2등급(중립적), 지배구조 1등급(긍정적)을 획득했다.  

이 같은 평가가 가지는 의미는 국제적으로 ESG가 강조되는 추세이고, 국가뿐 아니라 기업과 금융기관 등으로 ESG 평가가 확대 적용될 경우 우리 경제 전반에 ESG로 인한 영향력이 커질 수도 있다는 말이다.

이처럼 ESG 경영은 기업이 살아남기 위한 필수 전략이 됐다. 실제 금융투자협회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국제 ESG 투자 규모는 40조 5,000억 달러로 2012년 13조 3,000억 대비 약 3배 이상 성장했다. 

하지만 작년 5월 한국능률협회에서 기업과 기관 관계자 600명을 대상으로 ESG 경영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 ESG를 도입해야 한다는 응답은 81%에 달했지만, 43%의 응답자는 ESG 경영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아직 많은 기업이 ESG 경영 활동을 재무적인 관점에서 지표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공공기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국가 인프라를 담당하는 공공기관에서 탄소 중립, 기후변화 등에 대한 선도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이에 새 정부에서는 공공기관이 ESG 역량을 강화하고 민간 협력업체가 ESG 경영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되지 않았지만,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지속가능성장위원회(가칭) 설립을 통해 탄소 중립 대응과 연구개발(R&D) 확대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 작년 산업부가 공개한 K-ESG 가이드라인 고도화 작업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공공기관의 역할론이 강화되면서 일부 공공기관에서는 ESG 경영을 구축하고 나섰다. (사진=언플래시)
공공기관의 역할론이 강화되면서 일부 공공기관에서는 ESG 경영을 구축하고 나섰다. (사진=언플래시)

◇ ESG 경영 전략 강화하는 공공기관 

공공기관의 역할론이 강화되면서 일부 공공기관에서는 ESG 경영을 구축하고 나섰다. 서울시의 경우 시정에 ESG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기로 했다. 일단 작년 3개 본부·국에 시범 도입한 ‘기후 예산제’를 올해부터 시정 전 분야에 전면 도입해 내년도 예산에 반영한다.

기후 예산제는 예산 사업별로 온실가스 배출영향을 분석해 온실가스 감축이 예상되는 사업은 확대하고, 배출이 예상되는 사업은 규모를 축소하거나 배출 상쇄방안을 마련하는 제도인데, 올해 편성하는 2023년도 회계연도 예산부터 전면 도입한다. 

ESG 경영에 앞장서는 기업에 대한 지원도 확대한다. 작년 시금고 지정 평가항목에 ESG를 반영한 ‘녹색금융 이행실적’을 신설한 데 이어, 공사·물품·용역 등 계약이나 민간 위탁 시 ESG 우수기업을 우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대기업 중심의 ESG 경영이 중소기업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중소기업에 대한 친환경·ESG 컨설팅도 확대 지원한다. 

기업·시민과 함께 사회 전반에 ESG 생태계를 구축해 기후 위기 대응력도 높일 예정이다. 시가 추진 가능한 공공 부문부터 ESG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동시에, 민간 부문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추진한다. 

매년 시행하는 26개 서울시 투자·출연기관 경영평가에도 ESG 관련 지표 반영을 추진한다. 에너지 사용량, 폐기물 발생량, 녹색제품 구매실적, 제로 웨이스트 추진실적 등을 평가지표로 설정해 투자·출연기관의 ESG 경영을 강화한다. 

공공기관 녹색제품 의무 구매도 확대한다. 시의 녹색제품 구매심사 기준을 현행 70만 원 이상에서 50만 원 이상으로 강화한다. 시 녹색제품 구매액의 71%를 차지하는 건설‧토목 분야는 구매실적을 집중 관리해 의무구매 비율을 2021년 32.6%에서 2026년 7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이외에 민간 부문의 참여 확대를 위해 ▲계약‧민간위탁 시 ESG 우수기업 우대 ▲경제단체와 협력 네트워크 구축‧운영 ▲중소기업 ESG 경영 전환 컨설팅 확대 ▲녹색산업 육성‧지원 등을 다각도로 추진한다. 

부산의 공공기관도 ESG 경영과 연계한 녹색금융에 발 벗고 나섰다. 녹색금융이란 환경, 에너지 등과 관련한 금융 활동을 통합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우선 한국주택금융공사는 가계부채의 구조적 개선과 포용금융을 통한 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2018년부터 2921년까지 총 110조 원에 달하는 ESG 채권을 발행했다. BNK부산은행도 2020년 11월부터 최근까지 3,500억 원 상당의 ESG 채권을 발행했다. 더불어 지역 상생형 친환경 금융상품인 저탄소 실천 예·적금과 ESG 우수기업 대출도 출시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유엔글로벌콤팩트(UNGC)에 가입했고, 작년에는 친환경 선박 도입을 지원하고 코로나19 피해를 입은 중소·중견 선사의 회사채 인수를 위해 1,500억 원 규모의 3년 만기 ESG 채권을 발행했다.

한국남부발전은 작년 역대 최대 규모인 7,800억 원 상당의 ESG 채권을 발행했다. 2030년까지 필요한 총 15조 원의 투자비 가운데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드는 6조 4,000억 원을 ESG 채권으로 조달해 2050 탄소 중립에 기여할 방침이다.

[이넷뉴스=김범규 기자] beebeekim1111@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