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루엔자, 코로나19 제거 실험 결과 각 99.9%, 99% 사멸, 2차 오염도 원천 차단
기존 헤파필터 제작 공정 적용과 환기장치의 구조 변경 없이 적용 가능

[사진자료] 광열헤파필터 적용 열 회수 환기 장치 시제품(사진=)
광열헤파필터 적용 열 회수 환기 장치 시제품. (사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이넷뉴스] 계절을 가리지 않는 미세먼지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실내에 머무는 공간이 길어짐에 따라 효과적인 실내 환기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공기질 개선은 물론 바이러스까지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기업에 이전하고 사업화를 앞두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 에너지ICT융합연구단은 광열효과 기반 헤파필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광열효과 기반 필터를 이용해 포집된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 세균을 99.9% 사멸시키고, 포집된 필터에서 발생 가능한 바이러스의 2차 증식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기존 열회수환기장치에 적용 가능한 광열효과 살균기술로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를 99% 이상 사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상용 헤파필터에 금속 나노 입자 또는 탄소 나노 튜브와 같이 광열 효과를 일으키는 물질을 코팅해 광열 헤파 필터를 제작하는 것이다. 여기에 인체에 무해한 가시광선 대역의 발광다이오드(LED)를 조사해 약 10~15초 안에 60도 이상까지 발열하면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세포가 사멸한다.

더불어 연구팀은 필터 전반에 걸쳐 광열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LED 기반 면 발광 시스템 설계를 적용해 필터 전반에 균일도 95% 이상 수준으로 가시광을 조사하도록 했다. 이로 인해 부가적으로 기존 열회수환기장치의 문제점인 필터 표면의 습기제거와 면 발광 시스템의 열에너지를 이용해 결로방지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광열 헤파 필터를 이용해 필터에 포집된 H1N1pdm09 인플루엔자(2009년 전 세계에 유행한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코로나19 바이러스 제거 실험을 한 결과 약 10~15분 정도 가시광을 조사할 경우 각 99.9%, 99% 이상 사멸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발열 온도를 70도 이상으로 높이면 99.9% 이상 사멸된다.

연구책임자인 류승환 선임연구원은 “실내 공기질 향상을 위해 최근 고성능의 헤파필터를 이용한 환기장치로 코로나19를 비롯한 실내 부유 오염원을 99.9% 이상 필터에 포집 할 수 있다”며, “광열헤파필터 기술을 적용하면 필터에 포집된 바이러스를 99.9%까지 제거 가능하며 필터에서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가 증식하지 않아 2차 오염까지 방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넷뉴스=이효민 기자] hyomin7@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