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용기 금지 또는 과세 조치 권고 나선 UN
전 세계적 추세로 떠올라
[이넷뉴스] 플라스틱이 지구환경을 위협하는 주된 쓰레기로 인식되고 있다. 자연분해 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기 위한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2015년 이후 플라스틱의 일종인 비닐봉투와 스티로폼 등을 금지하는 국가 차원의 정책이 급격히 증가했다. 2018년 6월에는 국제연합(UN)이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각국 정부가 일회용 비닐봉지나 플라스틱 용기에 대해 금지하거나 과세조치를 해야 한다고 권고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플라스틱 사용 금지 조치에 따라 ‘재활용’(Recycle) 산업을 새로운 시장으로 바라보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 2024년 글로벌 재활용 시장 416조 원 전망
‘환경보호’와 ‘지속가능한 발전’이 기업의 존폐를 가르는 핵심 가치로 떠오르고 있다. 업계에서는 환경보호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변화함에 따라 소비패턴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코트라(KOTR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김지윤 미국 디트로이트무역관이 2019냔 11월 보고한 ‘‘친환경을 넘은 필(必)환경시대! ‘제로웨이스트’ 열풍’에 따르면 독일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는 글로벌 재활용 시장이 2017년 2,649억 달러(한화 약 292조 원)에서 2024년 3,767억 달러(한화 약 416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해외 기업에서는 플라스틱 재활용율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있다. 글로벌 음료기업 코카콜라컴퍼니(Coca-Cola Company)는 페트병의 디자인을 과감하게 변경했다. 2019냔 4월 무색 착향음료 스프라이트(Sprite)의 상징이었던 초록색 페트병을 무색으로 교체한 것이다. 기존 초록색 페트병은 복합재질로 만들어져 재활용이 어렵다. 반면 무색 페트병은 불순물이 적어 재활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다. 투명도가 높고 이물질이 없는 페트병을 잘게 부수면 섬유나 시트, 솜 등으로 활용도가 높다. 앞으로 단일 재질의 무색 페트병은 스프라이트의 모든 용량의 제품에 적용될 예정이다.
아시아 순환경제 자문기업 GA써큘러(GA Circular) 아비치 수브라마니암(Ashwin Subramaniam) 대표는 “동남아 6개국에서 실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페트병을 무색으로 변경했을 때 플라스틱의 가치가 크게 상승했다”며 “페트병을 무색으로 바꾼 코카콜라컴퍼니의 전략은 순환경제를 가속화하는 것으로 해당 보고서에서는 매우 중요한 권고사항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코카콜라컴퍼니는 최근 코카콜라와 스프라이트, 환타(Fanta) 등 제품에 100% 재활용이 가능한 폴리에틸렌 세레프탈레이트(rPET)를 적용해 네덜란드와 노르웨이 식음료 시장에 선보였다. 내년에는 대형 페트병에도 적용할 예정이다. 2025년까지 제품 중 50% 이상을 재활용된 페트병에 담아 출시하는 것이 목표다.
이외에도 코카콜라컴퍼니는 ‘지속 가능한 패키지 프로젝트’(World Without Waste Project)를 꾸준히 진행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모든 음료 패키지를 100% 수거해 재활용 가능한 것으로 바꾸는 게 목표다.
◇ 새 비즈니스 모델로 ‘재활용’ 주목
해외 스타트업 업계는 ‘재활용’을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주목하기 시작했다. 미국 스타트업 리비리(Liviri)는 2015년 재사용 가능한 플라스틱 택배상자 ‘리비리 박스’를 개발해 신선식품과 음식배달에 활용했다. 택배포장재를 줄이기 위해서다. 최대 75회 재사용이 가능하다.
택배를 받은 고객은 택배상자에 들어있는 음식을 꺼낸 뒤 자신의 주소가 적힌 스티커를 뗀다. 그리고 반송주소가 적힌 스티커를 다시 붙여 집 앞에 내놓기만 하면 된다. 이후 미국 배달업체 페덱스(FedEx)가 택배 상자를 다시 수거해 간다. 즉, 튼튼한 내구성을 가진 택배상자와 택배회사의 수거 시스템을 결합시킨 서비스다.
리비리 박스는 신선식품 배송에 최적화된 재사용 가능한 플라스틱 택배상자다. 채소나 과일, 각종 식품의 신선도를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 음식을 그대로 담고 운송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내용물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칸막이를 설치하고 분리할 수 있어 안전한 패키징이 가능하다. 또 진공보온병처럼 이중벽 사이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열전달을 최소화했다. 오랜 시간 동안 저온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다.
대표적인 친환경 국가 호주 스타트업 업계에도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용기가 등장했다. 제로코(Zero Co)는 바다와 매립지에서 확보한 플라스틱 쓰레기로 주방세제, 세탁세제 등을 넣을 수 있는 용기를 제작한다. 한 번 쓰고 버리는 것이 아닌 ‘재사용 가능한’ 점에 초점을 맞췄다. 제품을 다 쓴 사용자가 회사로 용기를 보내면 세척 후 세제를 채운 뒤 다시 판매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12월 제로코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위치한 자바 해(Java Sea)에서 6,000킬로그램(kg)의 플라스틱 쓰레기를 확보해 재활용 플라스틱 용기로 제작했다.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는 생활용수, 팜유 프리(palm oil free), 식물성 기반으로 친환경적이다. 마이크 스미스(Mike Smith) 대표는 “호주 내 2만 가정이 제로코의 재활용 용기를 사용한다면 12개월 안에 약 100만 개의 일회용 플라스틱이 바다와 매립지에 버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유럽 내 순환경제 확산∙∙∙재활용율 높이기 위한 시도 이어져
유럽 내에서 순환경제(Circular Economy)가 확산되면서 플라스틱의 사용은 줄이고 재활용 비율은 높이기 위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영국 스타트업 컵클럽(CupClub)은 재사용이 가능한 컵을 직접 세척해 각 점포로 배달하고 다시 수거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영국의 건축가 겸 디자이너 사피아 쿠레시(Safia Qureshi)가 2016년 론칭했다. 그는 “바이오 플라스틱이나 재사용할 수 있는 대나무 등도 좋은 대안”이라면서도 “결과적으로 이를 폐기할 시점에 재활용할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데 주목했다”고 밝혔다.
컵클럽 컵의 겉 모습은 우리가 카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테이크아웃 컵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컵은 재활용이 가능한 PP(폴리프로필렌), 뚜껑은 PE(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졌다. 바닥에는 무선주파수를 이용해 데이터를 읽어내는 인식시스템(RFID) 칩이 내장돼 있어 컵의 위치추적도 가능하다.
수거는 소비자가 사용한 컵을 매장 밖에 설치된 전용 수거함이나 컵클럽 회원으로 가입한 다른 카페에 반납하기만 하면 된다. 이렇게 수거된 컵은 전문 세척 시설로 옮겨 일괄적으로 세척된 후 매일 아침 서비스를 신청한 매장으로 다시 배달된다. 컵은 평균 132회 사용할 수 있으며 이후 100% 재활용된다.
핀란드에서는 재활용 가능한 택배 포장재 리팩(RePack)이 주목을 받고 있다. 내구성이 강한 PP 소재로 20회 이상 재사용 가능하다.
리팩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배송옵션을 ‘리팩’으로 선택 후 보증금을 지불하면 된다. 물품을 받은 뒤 리팩을 평평하게 접고 우체통에 넣어 반환하면 보증금을 되돌려 받을 수 있다. 회수된 리팩은 품질 체크를 거쳐 다시 온라인 스토어로 납품된다. 품질이 불량인 경우 업사이클링 등을 거쳐 다시 만들어진다.
리팩 측은 “일회용이었던 택배 포장재를 줄임으로써 이산화탄소 배출을 80%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며 “재사용되는 패키지 쓰레기 배출량을 낮추는 동시에 신규 고객을 유입하는 기회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넷뉴스=김진성 기자] jin@enetnews.co.kr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