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0억원 이상으로 조성될 계획

[이넷뉴스] LG화학은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 IMM크레딧솔루션이 운영하는 KBE(Korea Battery & ESG) Fund의 핵심 투자자(Anchor Limited Partner)로 1500억원을 출자한다고 11일 밝혔다.
LG화학이 외부 자산운용사가 조성하는 펀드에 핵심 투자자로 참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KBE Fund는 4000억원 이상으로 조성될 계획이며, ESG 산업 관련 분야에서 기술력 있고 성장 잠재력이 높은 국내 기업을 발굴하고 투자를 통해 육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먼저 투자를 검토하는 주요 영역은 △양극재·음극재 제조, 배터리용 주요 금속 재활용 등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 △폐플라스틱 등 고분자 제품 재활용, 바이오 플라스틱 기술 등을 포함한 친환경 산업 소재 분야이다.
LG화학이 보유한 산업·기술적 전문성과 IMM크레딧솔루션의 기업 분석·발굴 역량이 결합해 ESG 관련 산업 전반을 폭넓게 조망하고, 관련 유망 기업의 초기 단계부터 투자 기회를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G화학은 ESG 경영 가속화를 위해 △양극재 등 전지 소재 △바이오 플라스틱과 같은 지속 가능 솔루션(sustainable solution) △경량화, 전장화 등 이모빌리티(e-mobility) 소재를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선정하고 육성하고 있다.
IMM크레딧솔루션은 국내 대표 사모펀드 운용사 IMM PE의 100% 자회사로 전기차 소재, 화학 업계의 투자 경험과 관련 자문사, 전문가, 기업 등에 폭넓은 네트워크를 보유한 전문인력으로 구성됐다.
LG화학은 올해 첨단소재 육성을 목표로 배터리 소재 관련 인원만 세 자릿수 규모로 선발하기로 하고 채용 절차를 진행 중이다. 배터리 소재의 대표 격인 양극재 생산능력은 지난해 4만 톤에서 2026년 26만 톤 규모로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CTO 부문에서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등 친환경 제품과 탄소중립 기술 등 Sustainability 분야 연구개발 인력을 올해 100여 명 규모로 채용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친환경 PCR(Post-Consumer Recycled) 플라스틱과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 개발을 지속하고 있으며, 바이오 원료 기반의 PO(폴리올레핀), SAP(고흡수성수지), ABS(고부가합성수지) 등은 올 하반기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신학철 부회장은 “이번 투자는 LG화학이 국내 유망한 중소·중견 기업들과 함께 ESG 산업 생태계를 강화하는 것은 물론 미래 성장동력을 지속해서 발굴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넷뉴스=박민정 기자] parkminjung@enetnews.co.kr
- ㈜한화, 녹색채권 발행으로 ESG 경영 속도 낸다
- 포스코O&M, 지속성장 기반 다지기 위한 ESG 경영 실시
- IBK기업은행, 4대 주요 ESG 국제표준‧이니셔티브 가입
- 네이버, 2020 ESG 보고서 개정판 발간···“친환경·사회적 책임 경영 선도”
- 한화솔루션, 10억위안 그린본드 발행…"친환경 에너지투자 확대할 것"
- IBK캐피탈, 2000억 규모 ESG 채권 발행
- 기업의 ESG 경영이 주주들에게 끼치는 영향
- 포스코건설, 국내 기업 최초로 ESG 파생상품 계약 체결
- LG전자, ‘ESG 꿈나무’ 키운다
- 기술보증기금, 강원지역 사회적가치 구현을 위한 ESG협약 체결
- LG화학, 재생에너지 직접 구매로 중국 내 배터리 소재 전 밸류체인 RE100 달성
- LG화학, 차세대 배터리 양극재 구미서 키운다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