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43,310,683개 분석

[이넷뉴스]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12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영풍 2위 시노펙스 3위 이엠텍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에 대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브랜드 평판조사를 실시했다. 2023년 11월 19일부터 2023년 12월 19일까지의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43,310,683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판을 분석했다. 지난 11월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40,288,525개와 비교하면 7.50%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이다.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끼리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커뮤니티 점유율을 측정하여 분석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분석은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 사회공헌지수로 구분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산출했다.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12월 빅데이터 분석 30위 순위는 영풍, 시노펙스, 이엠텍, 드림텍, 엠씨넥스, 인탑스, 파트론, KH바텍, 유티아이, 하이비젼시스템, 나무가, 상신이디피, 와이솔, 코아시아, 세경하이테크, 이랜텍, 엘컴텍, 엑스큐어, 노바텍, 슈피겐코리아, 아이엠, 버킷스튜디오, 아모텍, 덕우전자, 앤디포스, 하인크코리아, 한일진공, 캠시스, 아모센스, 이즈미디어 순이었다.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영풍 브랜드는 참여지수 65,027 미디어지수 158,030 소통지수 311,787 커뮤니티지수 529,582 시장지수 1,947,792 사회공헌지수 135,53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147,751로 분석됐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1,985,220과 비교해보면 58.56% 상승했다.​

2위, 시노펙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552,582 미디어지수 494,544 소통지수 478,289 커뮤니티지수 407,473 시장지수 717,883 사회공헌지수 106,13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756,906으로 분석됐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2,040,423과 비교해보면 35.11% 상승했다.​

​3위, 이엠텍 브랜드는 참여지수 174,960 미디어지수 161,070 소통지수 227,183 커뮤니티지수 616,653 시장지수 1,440,026 사회공헌지수 71,23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691,130으로 분석됐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3,032,326과 비교해보면 11.25% 하락했다.​

​4위, 드림텍 브랜드는 참여지수 247,167 미디어지수 230,608 소통지수 221,711 커뮤니티지수 185,767 시장지수 1,579,265 사회공헌지수 44,97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509,489로 분석됐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2,522,491과 비교해보면 0.52% 하락했다.​

5위, 엠씨넥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178,204 미디어지수 176,802 소통지수 179,070 커뮤니티지수 134,137 시장지수 1,044,387 사회공헌지수 66,40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779,001로 분석됐다. 지난 11월 브랜드평판지수 1,566,352와 비교해보면 13.58%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12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영풍 ( 대표 박영민, 배상윤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브랜드소비 2.57% 상승, 브랜드이슈 7.15% 상승, 브랜드소통 12.01% 상승, 브랜드확산 31.72% 상승, 브랜드시장 1.82% 상승, 브랜드공헌 0.18%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편, 2위에 오른 시노펙스는 지난 8일 주주친화정책의 일환으로 무상증자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신주배정기준일은 2023년 12월 29일이며,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에 대해 주식을 보유한 경우 100주당 5주의 주식을 무상으로 지급받게 된다. 무상증자 재원은 주식발행초과금을 활용했으며, 신주는 2024년 1월 25일 상장된다.

무상증자는 기업이 자본잉여금 일부를 활용해 신주 발행하는 것으로, 배당소득세에 해당하는 15.4%의 별도소득세를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

[이넷뉴스 = 구하영 기자] data@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