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서비스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58,556,999개 분석

이넷뉴스 = IT서비스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9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포스코DX 2위 삼성SDS 3위 카카오페이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IT서비스 상장기업 브랜드에 대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브랜드 평판조사를 실시했다. 2023년 8월 12일부터 2023년 9월 12일까지의 IT서비스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58,556,999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판을 분석했다. 지난 8월 IT서비스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50,934,858개와 비교하면 14.96%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이다.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끼리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커뮤니티 점유율을 측정하여 분석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IT서비스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분석은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 사회공헌지수로 구분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산출했다. ​

IT서비스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9월 빅데이터 분석 30위 순위는 포스코DX, 삼성SDS, 카카오페이, 솔트룩스, 현대오토에버, 카페24, NHN, 토마토시스템, 한국정보인증, 오파스넷, 마음 AI, 딥노이드, 다날, 가비아, DB, KG이니시스, 롯데정보통신, 한국전자인증, KG모빌리언스, NHN KCP, 인포뱅크, 한국전자금융, 케이씨에스, 대아티아이, 코나아이, 나무기술, 갤럭시아머니트리, 엠브레인, 티라유텍, 소프트센 순이었다. ​

IT서비스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포스코DX 브랜드는 참여지수 2,160,190 미디어지수 1,228,515 소통지수 2,062,416 커뮤니티지수 2,781,071 시장지수 2,947,657 사회공헌지수 533,26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1,713,116으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8,900,587과 비교해보면 31.60% 상승했다.​​

2위, 삼성SDS 브랜드는 참여지수 217,805 미디어지수 328,368 소통지수 278,770 커뮤니티지수 276,764 시장지수 3,797,315 사회공헌지수 835,87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734,893으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4,882,432와 비교해보면 17.46% 상승했다.​​

3위, 카카오페이 브랜드는 참여지수 450,310 미디어지수 209,919 소통지수 535,081 커뮤니티지수 329,444 시장지수 2,097,066 사회공헌지수 88,60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710,428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4,673,763과 비교해보면 20.61% 하락했다.​​

4위, 솔트룩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948,885 미디어지수 719,361 소통지수 542,060 커뮤니티지수 476,583 시장지수 150,336 사회공헌지수 120,74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957,965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1,356,760과 비교해보면 118.02% 상승했다.​​

5위, 현대오토에버 브랜드는 참여지수 254,065 미디어지수 200,571 소통지수 222,773 커뮤니티지수 306,682 시장지수 1,665,239 사회공헌지수 123,66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772,996으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2,666,972와 비교해보면 3.98%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IT서비스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9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포스코DX ( 대표 정덕균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IT서비스 상장기업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브랜드소비 10.14% 상승, 브랜드이슈 16.50% 상승, 브랜드소통 12.14% 상승, 브랜드확산 11.08% 상승, 브랜드시장 13.26% 상승, 브랜드공헌 48.43%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편, 3위에 오른 카카오페이(대표 신원근)는 이날 해외여행 중인 카카오페이앱 사용자를 위해 국가별 맞춤형 홈 화면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사용자는 '해외여행자 맞춤 홈'이 적용된 카카오페이앱을 통해 해외결제 시 유용한 정보와 기능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해외여행자 맞춤 홈'은 카카오페이앱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서비스 국가를 방문하면 별도 설정 없이 자동 적용된다. 카카오페이앱 사용자들은 해당 국가에 상황에 맞게 특화된 3종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해외에서 카카오페이앱을 켜면 방문한 국가에 특화된 ‘해외 결제처’, ‘혜택받기’, ‘페이로운 소식’ 총 3종의 서비스 카드가 노출된다.

먼저, ‘해외 결제처’ 카드는 카카오페이로 결제 가능한 장소를 알려준다. ‘해외 결제처’ 카드는 일본과 중국에서 제공된다. 특히, 일본에서는 사용 가능한 가맹점명이 표기될뿐 아니라 지도 앱과 연동을 통해서 사용자 위치에서 가까운 지점을 찾을 수 있다.

‘혜택받기’와 ‘페이로운 소식’의 경우에는 방문한 국가에서 카카오페이를 통해 받을 수 있는 혜택과 금융 및 문화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넷뉴스 = 구하영 기자 data@enetnews.co.kr

저작권자 © 이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