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액 1조 3777억 원, 전년대비 7.6%↑
"차별화된 제품력으로 '건강한 성장' 기반 다져갈 것"

이넷뉴스 = 오리온이 차별화된 제품력과 영업력으로 국내외에서 시장점유율을 높이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오리온은 2023년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액 1조 3777억 원, 영업이익 2114억 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7.6%, 영업이익은 6.6% 증가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따른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음에도, 경쟁력 있는 신제품 출시와 현지 시장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영업 전략을 펼친 것이 성장요인이라는 분석이다.
원재료 공급선 다변화, 생산효율 개선 및 매출 확대를 통해 제조원가 상승 압박을 극복하며 영업이익은 6.6% 성장했다.
한국 법인은 매출액이 16.4% 성장한 5214억 원, 영업이익은 17.5% 성장한 818억 원을 달성했다.
차별화된 제품력과 영업력에 기반해 스낵, 파이, 비스킷, 젤리 등 전 카테고리에서 시장점유율을 높이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하반기에도 포카칩 MAX, 꼬북칩 매콤한맛을 비롯해 닥터유와 마켓오네이처 브랜드의 경쟁력 높은 신제품을 출시하는 한편, 주요 채널의 매대 확대에 집중하는 등 공격적인 영업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나갈 방침이다.
또한 지속적으로 판매량이 증대함에 따라 안정적인 제품 공급을 위한 생산능력 확대에도 나설 계획이다.
중국 법인은 매출액이 1.2% 감소한 5616억 원, 영업이익은 5.0% 성장한 895억 원을 기록했다. 위안화 환율의 영향이 일부 있었으며, 판매물량 기준으로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0.5%, 6.8% 성장했다.
최대 성수기인 춘절 명절이 전년 대비 열흘 가량 빨라짐에 따라 1분기에는 매출액이 소폭 감소했으나, 젤리, 감자스낵 등 매출 확대에 힘입어 2분기부터 두 자릿수 성장세로 전환했다. 하반기에도 간접영업체제 강화 및 창고형 매장 등 성장채널 영업활동에 주력하여 성장세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베트남 법인은 매출액이 2.7% 성장한 2010억 원, 영업이익은 9.6% 감소한 300억 원을 기록했다.
뗏 명절 시점 차이와 내수 소비 둔화 속에서도 쌀과자, 붐젤리(마이구미) 등 경쟁력 있는 신제품과 영업력을 바탕으로 매출 성장을 이어갔으나, 쌀, 감자플레이크, 젤라틴 등 주요 원재료비의 부담이 지속되며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지난 8일 오리온은 태국 1위 유음료 전문기업 더치밀(Dutch Mill)과 제휴해 베트남 유음료 시장에도 진출한다고 밝혔다.
오리온 베트남 법인은 지난해 12월 업무협약을 통해 더치밀 제품의 베트남 내 독점 판매권을 획득한 바 있. 1984년 설립된 더치밀은 우유, 요거트, 두유 등 영양을 강화한 제품군으로 태국 유음료 시장에서 7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러시아 법인은 매출액이 26.6% 성장한 998억 원, 영업이익은 37.6% 성장한 160억 원을 달성했다. 지난해 7월 트베리 신공장이 본격 가동된 이후 현지 수요에 맞춰 제품 공급량을 늘리며 고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이넷뉴스 = 김강산 기자 news@enetnews.co.kr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