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대전환] 중소기업 탄소중립 인식 전환···지원 확대로 가능할까
업종 존속 위기에 인식 미비 필요성은 공감하나 비용 부담 커 중기 대상 투자 및 교육 확대 추세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대전환이 일어나고 있다. 인류의 역사를 함께해왔던 화석연료를 뒤로 하고,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이 급격히 추진되고 있다. 이에 <이넷뉴스>는 에너지 대전환의 현황을 짚어보고 미래를 조망하는 기사를 준비했다.
<에너지 대전환> 시리즈
① [에너지 대전환] 태양광 에너지 확대···'폐패널 재활용' 대책 마련 시급
② [에너지 대전환] 세대에 한 번의 기회, 녹색 수소 시장을 잡아라
③ [에너지 대전환] 화석연료에 자금 쏟아붓는 ‘G7의 두얼굴’
④ [에너지 대전환] 중소기업 탄소중립 인식 전환···지원 확대로 가능할까
[이넷뉴스] 2050 탄소중립선언 이후 탄소중립을 위한 전 세계적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달 29일 탄소중립위원회가 출범하며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만들어 나간다는 계획을 밝혔다.
탄소중립은 국가가 주도해 기업과 국민의 인식을 개선하고 참여를 유도해야 만이 이뤄낼 수 있는 과제다. 시대적인 흐름이 탄소중립으로 가고 있다지만 비용적인 부담이 크고 전문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경우 탄소중립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있어 상대적으로 소극적일 수밖에 없었다.
당장의 업종 존속 위기, 경쟁력 약화 등의 복합적인 문제들 때문에 탄소중립을 논하는 것 자체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다.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지원 방안이 구체적으로 지원되지 않는다면 탄소중립으로 가는 속도는 늦어질 수밖에 없다. 최근에는 다양한 지원 정책들이 연이어 나오고 있어 중소기업들의 탄소중립 실현 방안 노력도 조금씩 활기를 띌 것으로 전망된다.
◇ 탄소중립, 공감은 꾸준했지만 '지원 절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지난 2월 발간한 ‘KOSME 이슈포커스’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 탄소중립 대응 동향조사 결과, 탄소중립 대응 필요성에 대해 중소벤처기업의 80.6%가 공감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하지만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준비 계획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인 56.1%가 없다고 밝으며 준비할 계획이 있다는 응답은 28.8%에 불과했다.
저탄소 전환을 위해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비용 부담 문제가 가장 컸다. 이어서 사업 전환을 위한 정보 부족(18,8%), 전문 인력 부족(18%), 기술개발 애로(15.7%)가 뒤를 이었다.
이처럼 중소기업들 역시 탄소중립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공감하고 있으나 결국은 현실적인 문제들 때문에 방안 모색이 어렵다는 의견이 이어지고 있었다. 가장 시급한 것은 설비 도입 및 증설을 위한 자금 지원이었다.
특히 탄소 배출량이 많은 중소 제조기업의 경우에는 이 같은 지원이 더욱 절실한 상황으로, 대체산업 분야로의 사업 전환 및 추가를 위한 전문적인 컨설팅 교육 역시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 확대되는 중소기업 지원 사업
중진공은 중소 제조기업의 저탄소 배출구조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녹색경영수준 진다, 챌린지 진단, 넷 제로(Net Zero) 유망기업자금 등을 도입한다고 밝힌 바 있다.
녹색경영수준 진단을 통해 제조 기업을 중심으로 기업의 탄소 배출량을 측정하고 챌린지 진단으로 배출감축 목표를 설정, 개선방안 및 설비 도입 등에 대해 집중 컨설팅을 진행한다.
Net Zero 유망기업자금 제도는 저탄소 생산설비 도입, 원부자재 구입, 에너지 효율화 시설도입 등을 지원하게 되는 사업이다.
또한 지난 20일 100억 원 규모의 탄소중립 경영혁신 바우처를 신규 도입한다고 밝혔다. 200개사에 기업 특성, 지원유형에 적합한 컨설팅과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중소기업의 ESG 경영 전환을 돕는다.
여기에 더해 환경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 선정 공고를 내고 지난해 9월 41개사를 선정한데 이어 올해 추가로 31개사를 선정했다. 선정된 기업들은 2023년까지 3년간 기업당 최대 30억 원의 자금을 지원받는다.
소상공인들의 사업 재기를 위한 지원 사업도 마련됐다. 신한금융과 중소벤처기업부는 소상공인 재기지원 사업 대상자 100개사를 모집해, 임대료를 최장 6개월 지원한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정부가 이처럼 지원 방안을 확대하면서 중소기업들의 탄소중립 실현 방안 노력도 조금씩 활기를 띌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친환경 저탄소 중심의 녹색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야만 향후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같은 다양한 지원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탄소중립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안이 개선되고 인프라 확충, 신규 일자리 창출 등의 긍정적인 효과로 나타나길 기대해본다.
[이넷뉴스=김수정 기자] meteor1224@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