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장석영 차관, 26번째 디지털 뉴딜 현장소통 일환으로
수소전기차ㆍ수소연료전지 개발 중인 현대자동차 마북연구소 방문
‘5세대(5G)기반 스마트 병원’선도 모델인 용인 세브란스병원 현장방문
스마트 병원 등 5세대(5G) 융합서비스 생태계 지속 확산 추진

[이넷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 장석영 제2차관은 3월 9일(화), ‘5G기반 스마트 병원’을 선도하고 있는 용인 세브란스 병원을 방문하여 5G 융합서비스 적용 성과를 확인하고, 탄소중립 정책과 연계하여 수소전기차ㆍ수소연료전지를 개발중인 현대자동차 마북연구소도 방문하는 등 정책현장 소통 행보를 이어나갔다.
용인 세브란스 병원은 지난 ’20년 3월 신규 개원 후, 5G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5G 스마트 병원’ 구축을 지속 추진해 왔다.
이를 위해, 원내 통합 의료 빅데이터 관제 시스템인 IRS, 코로나 확진자 등 병원 출입인원 동선파악을 위한 RTLS, 의료진이 질병진단에 활용 가능한 AI기반 영상판독 보조시스템 등을 구축하고 의료 서비스의 스마트화에 앞장서고 있다.
아울러, 앞서 오전에는 현대자동차 마북 연구소도 방문해 수소선박ㆍ수소기차 등 차세대 모빌리티 연구계획을 청취하고, 수소전기차ㆍ수소연료전지 개발현황을 확인하였으며, 상용 수소전기차를 직접 시승하고 수소충전소ㆍ수소차부품전시실 등 주요 시설ㆍ설비를 둘러본 후, 연구현장 직원들을 격려하는 자리를 가졌다.
장석영 제2차관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뉴딜정책의 가시적 성과를 창출하고 5G 융합서비스가 지속 활성화 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현장의 의견을 경청하겠다.”고 밝혔으며, “또한, 탄소중립 관련 기술은 환경오염 저감 뿐만 아니라 국가의 핵심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라면서, “정부도 탄소중립기술 발전을 위해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넷뉴스=박민정 기자] parkminjung@enetnews.co.kr
- 센서 산업 기술 부족, 지원 확대해 따라 잡는다
- 랜섬웨어 올해 더 무섭다
- [2021 모빌리티 산업 분석 ③] 모빌리티 규제 샌드박스, 혹시 규제의 모래사막에 빠지는 건 아닐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 및 정보문화 유공 정부포상’ 공모
- 정부, 1.1조 달러 가상융합(XR) 시장에 본격 뛰어든다···"예산 4,030억 원 투입"
- 5G, 6G, 세계 최초 타이틀보다 실속이 먼저···한국은 여전히 제자리 걸음
- 홍릉, 서울시 최초의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세계적 바이오 클러스터 만든다
- 과기부, 노후된 공공와이파이 1.8만개 대개체 및 수신가능 지역 확대 추진
- 과기부, ‘고용위기 기업부설연구소 R&D전문인력 활용지원’ 사업 신규 추진
- 현대자동차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혁오와 함께 400km 달린다
- 현대차, 충전 시간 50% 줄인 초고속 충전 브랜드 ‘E-pit’ 공개
- 북부지방산림청, 탄소중립 '첫 삽'···나무심기 행사 개최
- 탄소중립·스마트센서 '민간 R&D 협의체' 첫 발 뗐다
기사제휴 및 보도자료 발송 ▶ news@ene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