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에너빌리티 8MW 해상풍력발전시스템, 국제 형식인증 취득
우리나라 서남해 환경 맞춤형으로 제작
[이넷뉴스] 12일 두산에너빌리티에 따르면, 두산에너빌리티는 8MW 규모 해상풍력발전시스템(모델명 DS205-8MW)에 대해 국제 인증기관인 독일의 ‘DEWI-OCC(데비오씨씨)’로부터 국제 형식인증(Type Certification)을 취득했다.
국내 설치 기준 최대 용량인 ‘DS205-8MW’는 해상풍력이 발달한 유럽 국가들 대비 풍속이 느린 우리나라 서남해 환경에 맞춤형으로 제작됐다.
평균 풍속 6.5m/s에서도 이용률 30% 이상이 가능할 수 있도록 로터 직경을 205m(블레이드 길이 100m)까지 늘린 것이 특징이다.
100m 길이의 블레이드는 두산에너빌리티와 한국재료연구원, 블레이드 제조사인 휴먼컴퍼지트가 협력해 제작했다.
국제공인 시험기관인 부안 풍력시험동에서 설계수명 25년에 대한 반복 피로 하중 시험과 태풍과 같이 극한 상황의 하중 시험을 통과했다.
두산에너빌리티 박홍욱 파워서비스 BG장은 “전세계 풍력 기업들이 경쟁하는 우리나라 해상풍력시장에서 국내 산∙학∙연이 함께 개발한 8MW 해상풍력 터빈으로 시장 확대에 나설 것이다. 현재 70% 이상인 터빈 부품 국산화율을 더욱 높이고, 해외에 의존하던 터빈 유지보수 서비스를 국내 기술과 인력으로 대체해 국내 해상풍력 생태계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해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공모한 ‘8MW급 부유식 해상풍력시스템 개발’ 2단계 사업에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협약을 체결했다.
부유식 해상풍력은 기존 고정식 해상풍력에 비해 단지 조성비용은 더 들지만, 풍력자원이 우수한 먼 바다에 설치함으로써 이용률과 주민수용성이 높다는 장점이 크다.
해외에서는 2009년부터 유럽과 일본을 중심으로 미래기술로서 부유식 해상풍력시스템을 실증하며 상업화를 추진 중이다.
2020년 5월부터 8개월간 진행된 1단계 과제에서는 지자체와 연계한 4곳의 컨소시엄이 선정돼 실증 후보지 발굴, 설계기준 수립, 부유체 후보 검토 등을 수행한 바 있다.
2단계 과제에서는 1단계 참여 컨소시엄 간 경쟁을 통해 두산에너빌리티 컨소시엄이 선정됐고, 본 컨소시엄은 부유식 해상풍력시스템 설계, 제작, 실증, 상용단지 발굴 등을 수행한다.
[이넷뉴스=박민정 기자] parkminjung@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