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지주사 상장기업 11월 브랜드평판 1위···LG·삼성물산 뒤이어

지주사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263,608,090개 분석

2022-11-29     구하영 기자

[이넷뉴스] 지주사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2년 11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한화 2위 LG 3위 삼성물산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지주사 상장기업 115개 브랜드에 대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브랜드 평판조사를 실시했다. 2022년 10월 29일부터 2022년 11월 29일까지의 지주사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263,608,090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판을 분석했다. 지난 10월 지주사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222,924,378개와 비교하면 18.25%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이다.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끼리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커뮤니티 점유율을 측정하여 분석했다. ​

지주사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분석은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 사회공헌지수로 구분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산출했다. ​

지주사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2년 11월 빅데이터 분석 30위 순위는 한화, LG, 삼성물산, CJ, SK, 두산, GS, 한국조선해양, 에코프로, 코오롱, 효성, LS, HD현대, 롯데지주, 풀무원, DL, 넥센, 두산밥캣, 경동인베스트, 대웅, 한진칼, 웅진, 일동홀딩스, 한국앤컴퍼니, 한미사이언스, 아모레G, NICE, 서연, 대덕, HDC 순이었다. ​​

지주사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한화 ( 대표 금춘수, 옥경석, 김승모 ) 브랜드는 참여지수 682,776 미디어지수 8,910,883 소통지수 8,906,693 커뮤니티지수 6,184,889 시장지수 1,084,089 사회공헌지수 411,61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6,180,944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27,456,997과 비교하면 4.65% 하락했다. ​​

​2위, ​​LG ( 대표 구광모, 권봉석 ) 브랜드는 참여지수 371,036 미디어지수 5,992,896 소통지수 5,800,346 커뮤니티지수 5,688,502 시장지수 6,709,235 사회공헌지수 768,41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5,330,430으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23,140,436과 비교하면 9.46% 하락했다. ​

3위, ​삼성물산 ( 대표 고정석, 오세철, 한승환 ) 브랜드는 참여지수 1,494,608 미디어지수 2,363,756 소통지수 4,368,539 커뮤니티지수 5,170,181 시장지수 11,313,004 사회공헌지수 201,45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4,911,540으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18,244,444와 비교하면 36.54% 상승했다. ​​

4위, ​​CJ ( 대표 손경식, 김홍기 ) 브랜드는 참여지수 497,476 미디어지수 7,292,790 소통지수 4,839,330 커뮤니티지수 7,941,534 시장지수 1,141,026 사회공헌지수 344,58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2,056,738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17,471,770과 비교하면 26.24% 상승했다. ​

5위, ​SK ( 대표 최태원, 장동현, 박성하 ) 브랜드는 참여지수 712,860 미디어지수 2,457,242 소통지수 3,763,581 커뮤니티지수 3,742,094 시장지수 7,812,726 사회공헌지수 744,78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9,233,289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14,686,045와 비교하면 30.96% 상승했다.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22년 11월 지주사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결과, 한화 ( 대표 금춘수, 옥경석, 김승모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지주사 상장기업 브랜드 카테고리 빅데이터 분석을 해보니 브랜드소비 17.56% 상승, 브랜드이슈 26.83% 상승, 브랜소통 13.02% 상승, 브랜드확산 25.77% 상승, 브랜드시장 8.52% 상승, 브랜드공헌 36.49%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편, 지난 24일 SK는차세대 식품 시장으로 주목받는 지속가능식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며 ESG(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개선) 사업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SK㈜는 세포배양 연어육 상업화를 추진중인 미국 와일드타입(Wildtype)에 약 100억 원 투자와 함께, 대체 유(乳)단백질 생산기업 미국 퍼펙트데이(Perfect Day) 및 매일유업과 지속가능식품 사업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또 SK㈜가 투자한 네덜란드 지속가능식품 기업 미트리스팜(Meatless Farm)도 최근 아주IB투자로부터 100억 원 투자를 유치했다.

와일드타입 투자를 통해 SK㈜는 기존 식물성 고기(미트리스팜), 미생물 발효 단백질(퍼펙트데이, 네이처스 파인드)에 이어 세포배양 식품(와일드타입)까지 아우르는 지속가능식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이넷뉴스 구하영 기자] data@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