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유휴지에 전기차충전기 설치” 서울시-서울에너지공사-캠코 ‘맞손’

탄소중립정책과 그린모빌리티 보급 확대 위해 추진

2022-11-10     이효민 기자
(왼쪽부터)이기완 서울에너지공사 사장직무대행, 이인근 서울시 기후환경기획관, 홍영 캠코 이사가 민간투자 활성화를 통한 도심형 거점 전기차충전소 구축 업무협약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캠코 제공)

[이넷뉴스] 10일 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 서울에너지공사(사장직무대행 이기완, 공사), 캠코(사장 권남주, 한국자산관리공사)는 서울시 강남구 캠코양재타워 대회의실에서 ‘민간투자 활성화를 통한 도심형 거점 전기차 충전소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서울시의 2026년 전기차 10% 시대 실현을 위해 전기차 충전인프라를 확충하고 정부의 탄소중립정책과 그린모빌리티(Green mobility) 보급 확대를 위해 추진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캠코에서 관리하는 서울시 내 유휴지에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할 수 있게 됐다. 시는 강서구 내발산동 소재 유휴 국유부지(나대지, 2,260㎡) 등 10개 소에 대서 충전사업자를 공모하고 사업자가 선정되면 해당 부지에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할 계획이다.

서울에너지공사는 발굴·제공된 부지에 대해 전기차 충전기 설치 부지의 적합성 등 부지 현장조사 등 협약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충전기 설치 관련 업무를 지원한다.

캠코는 2013년부터 지자체별로 관리하던 국유일반재산 72만 필지를 전담관리하고 있다. 서울 시내의 유휴부지를 활용해 전기차 충전인프라 확충을 위한 부지 발굴 및 제공 등 ‘탄소중립’ 정책과 전기차 보급 확대에 협력하기로 했다.

홍영 캠코 국유재산본부장은 “이번 업무협약이 국유재산의 공익적 활용 가치를 높이고 서울시민들의 편익 증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도 캠코는 국정목표인 ‘민간이 끌고 정부가 미는 역동적 경제’를 달성하기 위해 기관간 협업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기완 서울에너지공사 사장직무대행은 “서울시는 전기차를 이용하는 시민이 편리한 ‘생활권 5분 충전망’ 구축을 통해 2026년까지 서울시 전기차 40만 대 보급을 목표로 힘을 쏟고 있다. 공사는 서울시의 친환경차 전환을 앞당기기 위해 신재생에너지를 연계한 복합 전기차 충전소 및 도심형 수소 충전소 구축 등 혁신적인 기술을 적극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인근 서울시 기후환경기획관은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를 위해 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하여 유휴부지 발굴 및 충전환경 개선에 대해 많이 고민하고 있다. 서울시는 보조금을 통한 설치지원과 더불와 캠코와의 사례와 같이 유휴부지를 활용한 전기차 충전망 확충에도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이넷뉴스=이효민 기자] hyomin7@e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