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 선거 앞두고∙∙∙”기후∙환경 교육 필요” 목소리 커져
미해본, “구체적인 기후∙환경 공약 찾아보기 어려워” 비판 생태환경교육 및 안전한 학교 만들기 정책 반영돼야
[이넷뉴스] 6월 1일 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교육감 후보 공약에 구체적인 기후∙환경 공약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학부모들이 주축이 된 시민단체인 ‘미세먼지해결시민본부(미해본)’는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생태환경교육’과 건강하고 안전한 학교 만들기를 위한 ‘기후·환경 정책’이 시행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 지속가능발전교육 이뤄져야
시민단체는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생태환경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이 적용돼야 한다는 것.
미해본에 따르면, 기후위기로 인해 강도 높은 삶의 방식의 변화 요구를 받게 될 미래세대는 적응력과 유연성을 길러야 한다. 또한, 기후위기 문제 해결자로서 가치관을 함양하기 위해 적극적인 환경교육과 이를 통한 각 분야 학문 가치를 재정립해야 한다.
기후위기에 맞는 환경교육 목표 및 커리큘럼이 정립돼야 하며, 환경교육 시수 확보도 이뤄져야 한다. 교과과정과 ESD를 연계한 교육안도 개발돼야 한다.
이와 함께 기존 체험 중심 텃밭 교육에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학교 텃밭이 확대돼야 한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의 부정적 측면을 확인하고 극복하며, 기후변화 대응에 능동적인 주체로 미래세대가 자리매김할 수 있어야 한다.
기후변화 영향과 탈 탄소 시대의 적응력과 회복력을 구축하기 위한 교육도 마련돼야 한다. 학생들 스스로 학교 주변 지역의 환경문제를 탐색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 후 실천을 통해 환경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의 사회와 환경문제에 대한 토론과 제안이 지역사회와도 연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 교내 탄소중립 달성하려면
학교 내에서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학교교육과 실천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 탄소중립 학교를 만들기 위해 학교별 실천방안이 마련돼야 하며, 옥상 주차장 등에 태양광 발전설비와 같은 재생에너지 발전설비가 들어서야 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녹색 소비에 대한 개념을 이해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학교단위로 필요한 물품만 구입해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학교 쓰레기 배출을 줄일 수 있어야 한다. 무분별한 학교 리모델링을 금지하고, 잃어버린 물품은 스스로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교육공간이 안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이 학교 내외부 공기질 관리다. 교실 밖 공기가 안전해야 교실 안 공기가 안전하기 때문이다.
공기질 개선 범위가 교실 실내 단위를 넘어 학교 주변 오염물질 배출도 저감할 수 있도록 탄소중립실천 개념이 기본이 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공기정화를 위한 기기 도입 시에는 인체 안전성이 입증된 방식을 취해야 한다. 학교 외부의 유해 가스 물질을 고려해 학교 입지별 맞춤식 처방이 돼야 하며, 지자체와 협의해 학교 주변 유해시설이 유해물질 배출을 감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오염에 취약한 지역의 학교에 대해서는 환경 영향평가 및 결과에 따른 학교 이전 등을 통해 공기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 이와 함께 토양, 수질 안전을 위해서는 학교 텃밭 활동 전 토양 중금속 함량 조사가 의무화돼야 한다.
급식 안전도 필요하다. 조리 및 급식실 공기질 개선이 필요하며, 방사능 및 항생제가 없는 식재료를 의무화해야 한다. 농식품의 마이크로시스틴에 대한 식품안전 기준을 추가하고, 채식 급식에 대한 선택권도 보장해야 한다.
미해본 관계자는 “각 시·도 교육감 후보들은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생태환경교육과 건강하고 안전한 학교 만들기를 위한 기후·환경 관련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면서 “미래세대인 우리 아이들이 기후위기를 극복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을 적극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넷뉴스=김진성 기자] jin@enetnews.co.kr